구름기·투암기/김학찬 지음/교유서가/596쪽/3만 4000원
투병 중 독자 위해 유고집 준비미발표·최근 작품 모은 소설집
폐암 4기 진단 이후 쓴 산문집
김학찬 작가 생일에 맞춰 출간

김학찬 작가
올해 2월 김학찬 작가의 부고 기사를 썼다. 42세. 앞서 지난해 6월 이은선 작가는 서울신문 오피니언면에 ‘하이, 마이 하이샤파’라는 글을 통해 김 작가가 자신의 딸아이에게 다소 이르게 연필깎이를 보내왔다고 썼다. “나중에 아이가 학교에 들어갈 때 삼촌이 연필깎이라도 하나 사 주라”는 말을 지나가며 한 적이 있었는데 그 말을 기억하고 이제 겨우 연필을 쥘 줄 아는 아이에게 선물을 보냈다는 내용으로 글은 시작한다. 때 이른 선물의 이유는 뒤늦게 알게 된다.
젊은 소설가는 병마에 스러지면서도 독자를 비롯해 자신을 기억하는 모든 이에게 전할 유고집이라는 선물을 때 이르게 준비했다. 소설집 ‘구름기’와 산문집 ‘투암기’가 그의 생일에 맞춰 출간됐다. 소설집에는 미발표작을 포함해 청년 시절에 썼지만 책으로 묶지 않았던 작품과 최근작이 담겼고, 산문집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기침으로 병원에 들렀다가 폐암 4기 진단을 받고 써 내려간 글들이 담겼다.

소설집에는 이 세계 중심 원을 벗어나려 하지 않지만 계속해서 원 밖으로 밀려 나간 존재들의 이야기가 실렸다. 고향을 떠나왔으나 아직 새로운 터전에 완전히 스며들지 못한 새터민 가족 이야기(‘귀가’), 자본주의의 문법을 체득하지 못한 채 체제 밖을 배회하는 아버지들(‘은이와 같이’, ‘구름기’), 마치 다단계에 빠지듯 고교생 백일장 대리시험에 빠져든 가난한 대학생(‘모범택시를 타는 동안’) 등을 다룬다. 작가는 변두리로 밀려난 자들의 삶을 예민하게 포착하는 동시에 그런 인물들을 그려 내는 행위 자체의 한계를 뼈아프게 직시한다.

폐암 3세대 표적치료제의 임상실험에 참여하면서 치료제 이름을 따 자신을 ‘렉라자맨’이라 명명한 뒤 써 내려간 산문집에는 삶과 글에 대한 절절한 사랑이 담겼다. “그래도 쓰고 싶은 건 어쩔 수 없다. 행운과 노력으로 될 일이 아니더라도 시도할 수밖에 없는 게 있다. 이때까지 글을 썼고, 글을 읽었고, 글을 사랑해 왔으니까.”(63쪽), “좋아하는 것을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치료만 받다가 떠나는 것은, 의미를 잃는 일이다. 고통받으면서도 하고 싶은 것을 해야 한다.”(243쪽)
작가가 남긴 지상에서의 마지막 글들은 한 번뿐인 순간의 유한성과 그 소중함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게 한다. 투암기의 끝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장들은 그와의 연결이 완전히 끊어진 것이 아니라는 위로를 남긴다.
2025-08-2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