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은 200년간 어떻게 변화했는가

‘불평등’은 200년간 어떻게 변화했는가

최여경 기자
최여경 기자
입력 2025-08-29 00:18
수정 2025-08-29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평등의 담론/브랑코 밀라노비치 지음/이혜진 옮김/이태환 감수/484쪽/2만 4000원

‘코끼리 곡선’ 제시한 밀라노비치가
스미스·파레토 등 경제학자들 추적
‘불평등’에 대한 시각 변화 살펴봐
이미지 확대
‘불평등의 담론’ 저자 브랑코 밀라노비치. ⓒAlexander Paul Englert/Frankfurt
‘불평등의 담론’ 저자 브랑코 밀라노비치.
ⓒAlexander Paul Englert/Frankfurt


2013년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가 쓴 ‘21세기 자본’이 출간되면서 ‘피케티 신드롬’이 일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심화하는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담론을 일으켰고 가장 대중적인 공식을 남겼다. 느리게 성장하는 경제에서는 자본수익률(r)이 경제성장률(g)보다 높아져 부의 양극화 위험이 커진다는 ‘r>g’ 부등식이다.

이런 불평등에 대한 논의가 이전에는 없었을까. 세르비아계 미국인 경제학자 브랑코 밀라노비치가 18세기 후반 프랑스 혁명 전후부터 20세기 후반 냉전이 종식될 때까지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사상과 이론의 흐름을 추적해 한 권에 담았다. 세계 소득 분배의 변화 추이를 시각화한 ‘코끼리 곡선’으로 유명한 밀라노비치는 불평등 연구의 권위자로 손꼽힌다.

저자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케네(1694~1774), 영국의 애덤 스미스(1723~1790)와 데이비드 리카도(1772~1823), 독일의 카를 마르크스(1818~1883), 이탈리아의 빌프레도 파레토(1848~1923), 미국의 사이먼 쿠즈네츠(1901~1985)를 ‘위대한 경제학자’로 꼽으며 이들의 이론을 시대의 흐름과 접목해 분석했다.

이미지 확대


케네, 스미스, 리카도, 마르크스 모두 불평등은 계급에서 비롯됐다고 봤다. 케네는 법으로 계급이 결정된다고 믿었고, 스미스는 생산 수단에 의해 계급이 규정된다고 봤다. 계급 갈등과 소득·성장을 이론적으로 연결 지은 리카도에 이어 마르크스는 계급 없는 사회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스미스와 리카도의 시대에는 계급이 지주, 자본가, 노동자로 나뉘었다. 또 토지의 대가인 지대, 자본의 대가인 이윤, 노동의 대가인 임금이라는 수입 구조가 분배의 차이를 낳으면서 불평등이 진행된다고 봤다.

마르크스는 지주를 ‘토지를 가진 자본가’로 편입시켜 자본가(부르주아)와 빈곤한 대다수 노동자(프롤레타리아)로 양분했다. 밀라노비치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계급 간 갈등과 분열이 극심해지면서 사적 소유가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자본론’ 속에는 계급의 갈등과 불평등 완화 요인이 훨씬 더 다양한 시나리오로 제시된다고 설명했다.

‘결과의 80%가 20%의 중요한 원인에서 비롯된다’는 법칙으로 유명한 파레토는 계급을 중요하게 보지 않았다. 계급이 사라진 자리에 개인이 들어섰고, 엘리트와 나머지 사람들의 소득과 분포를 분석하면서 계급을 넘어선 불평등 연구의 가능성을 열었다.

쿠즈네츠는 불평등 분석에서 사회 계급을 완전히 제외하고 순수 개인별 소득 분배를 연구했다. 또 소득 변화를 도시와 농촌, 농업과 제조업 사이의 차이로 풀어냈다.

냉전 상황에선 불평등에 관한 연구가 잠잠해졌다. 자유주의 진영에선 계급 간 갈등을 숨기고 싶었고, 사회주의 쪽에선 평등한 세상이 완성됐다고 주장해야 했다. 냉전이 끝나면서 다시 불평등 연구가 살아나고 21세기 초에 이르러 부자 나라의 장기적인 불평등 추이를 분석한 피케티의 연구가 세상에 나왔다.

밀라노비치는 “지금의 불평등 연구는 2세기 동안 대체로 간과됐던 인종과 성별 같은 태생적 원인에 관심이 집중돼 있다”면서 “불평등에 관한 인식이 우리 역사와 장소로 정의되는 맥락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 미래에 일어날 문제에 대한 선견지명을 가질 수 있다”고 했다.

각 장을 할애해 걸출한 경제학자들의 대표적 이론을 ‘비교적 압축해’ 풀어놨고, 불평등에 관한 시각이 시대와 이데올로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게 이 책의 강점이다.
2025-08-2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