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형 대표 본선 한계 공격수 안보여 답답 경선룰 하루아침에 못바꿔”
“후보들 가운데 공격수가 안 보인다.” 새누리당 이혜훈 의원은 7일 함께 출사표를 낸 당권주자들을 두고 이같이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선은 목숨을 건 사투인데 관리형으로 가겠다는 수동적 마인드로는 도저히 이길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혜훈 의원
-관리형으로만 가서는 위험하다. 물론 대선 경선에서는 공정한 관리를 해야겠지만 경선 국면이 며칠이나 가겠나. 결국 본선에서는 적극적으로 나가야 한다. 이슈를 주도하고 대야(對野) 투쟁에 앞장서야 한다. ‘최선의 방어는 공격’이라는 말도 있듯 적극적인 공세를 취해야 한다. 방패막이(지도부)가 부실하면 성체(대선 후보)가 밀린다. 그런데 벌써부터 전당대회를 두고 김 빠지는 선거라고 하니 답답하다.
→유일한 여성 후보여서 당선은 이미 확정된 거나 다름없다.
-등수가 중요하다. 힘이 있어야 일을 더 잘할 수 있다. 일부 친박(친박근혜) 쪽에서 “이혜훈은 이미 당선됐으니까 찍지 않아도 된다.”고 전화 돌리는 사람들이 있나 본데 나의 우선 목표는 당권이고 순위는 높을수록 좋다.
→다른 후보들과 대비되는 강점은 무엇인가.
-지금 새누리당 입장에서 가장 마음을 얻어야 할 타깃이 수도권 2040세대다. 제 자신이 수도권 2040세대다. 민생에 가장 관심을 갖고 있고 경제정의가 제대로 실현되길 바란다는 점도 가장 잘 알고 있다. 그런 면에서 적임자라고 자평한다.
→친박계 내부의 소통 문제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소통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 다만 최근 당대표 후보로 등록하기 직전 주변 인사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니 소위 핵심 인사들이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전혀 교감이 없었던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대권 주자들이 경선 룰 변경을 요구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지난 2007년 경선 때 얼마나 진통이 있었는지를 돌이켜 보면 룰이라는 것이 하루아침에 뚝딱 바꿀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경선 룰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은 말할 수 있지만 정치공세화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어차피 경선이 끝나면 본선에서 힘을 합해야 한다. 금도를 넘는 감정싸움에 치중해 대선 승리에 걸림돌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원내지도부는 어떤 인물들이 적합한가.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를 상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 모르겠다. 다만 대선을 앞두고 특정 성향의 원내대표보다는 중립적이고 개혁적인 분이 여야의 무리한 충돌을 최소화하도록 지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장세훈·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2-05-0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