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카톡’ 안써보고 카톡 본사에 갔다가…

문재인, ‘카톡’ 안써보고 카톡 본사에 갔다가…

입력 2012-08-01 00:00
수정 2012-08-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與도 野도 대선 키워드 ‘카톡 소통’…문재인, 카톡 본사 방문

“대선 모발심(모바일 민심)을 잡아라.”

올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선 주자들의 모발심 구애가 본격화되고 있다. 전 세계 216개국에서 사용자만 5500만명에 달하는 ‘카카오톡’(카톡)이 위력적인 소통 툴(Tool)로 떠오르고 있다. 첫 재외국민이 참여하는 대선에서 큰 비용 없이 후보들의 ‘스토리텔링’을 전파할 수 있는 점도 매력적이다. 특히 모바일 투표 등을 통해 완전국민경선제로 대선 경선을 치르는 민주통합당뿐 아니라 새누리당 주자들도 카톡을 적극 활용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미지 확대
文 “선의의 경쟁을”   민주통합당 문재인(오른쪽) 대선 경선 후보가 31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업체인 카카오톡 본사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있다. 연합뉴스
文 “선의의 경쟁을”

민주통합당 문재인(오른쪽) 대선 경선 후보가 31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업체인 카카오톡 본사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孫 “安과 힘 합쳤으면…”   민주통합당 손학규(오른쪽) 대선 경선 후보가 31일 제주시 건입동에 위치한 항운노조 제주지부를 방문해 노조원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孫 “安과 힘 합쳤으면…”

민주통합당 손학규(오른쪽) 대선 경선 후보가 31일 제주시 건입동에 위치한 항운노조 제주지부를 방문해 노조원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金 “5대기관 개혁”   민주통합당 김두관 대선 경선 후보가 31일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대기관 개혁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金 “5대기관 개혁”

민주통합당 김두관 대선 경선 후보가 31일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대기관 개혁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문재인 카톡본사 방문… “무료 음성통화 찬성”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당내 예비경선(컷오프)을 통과한 31일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업체인 카카오톡 본사를 방문했다. 문 후보는 직접 카톡으로 본사 직원들에게 “카카오 여러분 반갑습니다.”라고 입력한 후 “사실 그동안 카톡을 쓰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그는 “제 휴대전화에 등록된 전화번호만 1400개가 넘는데 (카톡을) 시작하면 성의 있게 대답하는 게 겁이 났다.”면서 “쑥스럽지만 이모티콘도 쓰며 앞으로 적극 카톡을 하겠다.”고 말했다.

문 후보가 국내 정보기술(IT)업체 중 가장 먼저 카톡을 찾은 건 주력 사용자인 20·30세대에 친숙한 후보라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또 야권 경쟁주자로 IT 전문가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문 후보는 공룡 통신사들이 반대하는 카톡의 무료 음성통화 서비스에 대해 “통신비 부담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최우선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 봐야 한다.”고 카톡의 손을 들어줬다. 집권 후 정보통신부 부활도 공언했다.

●손학규 ‘위키폴리시’ 서비스 시작

민주당 손학규 후보는 이날 집단 지성을 통해 국가 정책을 토론하고 수렴하는 웹·모바일 기반의 ‘위키폴리시’ 서비스를 시작했다. 손 후보는 스마트폰 등을 통해 위키폴리시에 게재되는 국민의 정책 제안을 직접 듣겠다는 구상이다. 손 후보 측 관계자는 “선거 때마다 후보가 쏟아내는 위로부터의 정책을 던져 버리고 국민이 원하는 정책을 경청하기 위해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박근혜 카카오스토리-임태희 ‘진솔채팅’ 눈길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도 20·30세대와의 소통을 위해 지난 8일부터 카카오 스토리에 ‘ghstory’라는 공식 계정을 만들고 사진을 서비스하고 있다. ‘박근혜 이모티콘’ 중 빨간색 말풍선 표시가 카톡 로고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다. 같은 당 임태희 후보는 매일 오후 4시부터 1시간 동안 사용자와 카톡 대화를 하는 ‘진솔채팅’을 진행하고 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