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경제난 해결 못하면 정권 내분 가능성”

“김정은 경제난 해결 못하면 정권 내분 가능성”

입력 2016-05-13 08:36
수정 2016-05-13 08: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켄 고스 해군분석센터 국장…“트럼프 당선되면 북한에 와일드 카드”

북한 김정은 정권이 향후 경제난을 해결하지 못하면 정권내 갈등이 커질 수 있다는 미국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켄 고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 국제분석국장은 13일 미국의 소리(VOA) 방송과 인터뷰에서 “당 대회 이후 김정은 정권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 과제는 경제를 살리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고스 국장은 “북한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로 인해 외화난을 겪는 등 부담이 늘고 있다. 이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으면 정권내 갈등이 커질 것”이라며 “김정은으로서는 자신의 권력 공고화를 위해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김정은은 앞으로 몇 년 안에 경제를 살릴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이는 국제사회의 도움이 있어야만 가능한 일”이라며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그래서 수개월 안에 유화 정책이든, 벼랑 끝 전술이든 (이를 통해) 그들의 궁극적 목표를 이루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스 국장은 북한의 대미 정책에 대해서는 “북한은 오바마 행정부와 그들의 전략적 인내 정책에 관심이 없다. 미국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대북 접근을 하지 않는 한 북한은 클린턴이나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클린턴이 대통령이 된다면 북한은 현재와 큰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더 어려운 상황을 맞이해야 할 수 있다”며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와일드카드’(예측할 수 없는 요인)에 해당한다. (북한이) 미국의 공격적인 자세를 경험하든가 혹은 잠재적 협상을 통해 무언가를 얻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고스 국장은 북한의 노동당 제7차 대회에 대해서는 “김정은이 미디어에 등장해 김일성 시대를 보여주는 게 사실상 전부였다”며 “김정은이 아직 어리고 경험도 부족하기 때문에 정통성의 원천이기도 한 김일성 시대로 돌아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비서국을 없애고 정무국을 신설한 것에 대해 “정무국을 통해 노동당 기구와 정부 기구를 더 밀접하게 만들려고 시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세대교체’ 폭이 예상보다 작았던 것과 관련해서는 “천천히 세대교체를 이루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궁극적으로 권력 통합으로 가는 중간 과정이며 앞으로 1~2년 정도 시간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