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핵포함 확장억제’ 강조 이유는…韓핵무장론 진화 의도

케리 ‘핵포함 확장억제’ 강조 이유는…韓핵무장론 진화 의도

입력 2016-09-19 09:17
수정 2016-09-19 09: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력한 대북 경고 의미도…6일 오바마 발언에 비해 한층 구체적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담에서 ‘핵’을 거명해가며 구체적인 대(對) 한국용 확장억제(extended deterrent) 공약을 밝혀 주목된다.

확장억제는 한국이 북한의 핵 공격 위협을 받을 경우 미국은 핵우산, 미사일방어체계, 재래식 무기를 동원해 미 본토와 같은 수준의 핵 억제력을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의 결과물인 공동성명에 의하면 케리 장관은 한국 및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공약이 확고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밝히고, 모든 범주의 핵 및 재래식 방어 역량(nuclear and conventional defense capabilities)에 기반한 확장억제를 제공한다는 공약이 (미국의 방위공약에) 포함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 발언은 북한의 5차 핵실험(9일) 전인 지난 6일 한미 정상회담 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한 발언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진행된 공동기자회견에서 “확장억제를 포함, 한국에 대한 방위 공약을 재확인한다”면서 “이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과 비교하면 케리 장관은 확장억제의 내용 중 하나로 ‘핵’을 명시적으로 언급했고 ‘모든 범주의’라는 수식어까지 더함으로써 확장억제에 전술 핵무기와 전략 핵무기가 다 포함된다는 뉘앙스까지 풍겼다.

케리의 이 같은 발언은 우선 북한의 핵 도발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로 풀이된다. 한국과 일본 국민들을 안심시키려는 의중도 내포된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더해 북한의 5차 핵실험 후 한국내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자체 핵무장론과 미국의 전술 핵무기 한반도 재배치론을 의식한 것으로 볼 여지도 있었다.

결국 ‘동북아 핵무장 도미노’로 연결될 수 있는 ‘불씨’를 초동에 진화하기 위해 케리가 보다 명확한 어조로 확장억제 공약을 확인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지난 12~13일 서울에서 열린 제10차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회의에서도 이런 미국 정부의 의중이 엿보였다. 당시 미국 국방부 당국자들은 재래식 전력과 미사일방어, 핵 능력을 포함한 모든 범주의 확장억제 능력을 사용해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한다는 미국의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국방부가 전했다.

또 북핵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지난 13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 수석대표 회동 후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상뿐 아니라 양국의 군사 전문가들은 ‘전술핵 재배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결정을 내렸다”면서 “한미동맹은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동맹중 하나로 북한의 여러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확장억제력도 포함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