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대정부 질문… 비경제 분야
여야 ‘법조 비리’ 한목소리 질타박범계 “정운호 권력형 비리 의혹”
표창원 ‘미남 경관 배치’ 발언 파문
황 총리, 이정현 ‘보도 통제 논란’에
“홍보수석으로서 협조 요청했을 것”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부끄러운 국회
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비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과 여당 의원들 간의 설전이 벌어지자 여야 3당 원내대표가 의장석으로 나가 중재를 시도하고 있다. 의장석 왼쪽부터 시계 반대방향으로 박주선 국회부의장,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 김 의원,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 국회사무처 장대섭 의사국장.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날 첫 질의자로 나선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홍만표 변호사가 연루된 ‘정운호 게이트’와 진경준 검사장의 ‘주식대박’ 의혹 사건 등의 법조 비리에 대해 “네이처리퍼블릭 정운호 전 대표가 65억원에 가까운 돈을 뿌렸는데, 권력형 비리 의혹도 의심되는 대목”이라면서 “정 전 대표의 뒤에는 홍만표 변호사도 있다. 이번 법조 비리를 전면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현웅 법무부 장관은 “해당 인물은 혐의가 인정돼 구속 기소했다. 나머지 의혹도 철저히 수사하고 있으니 지켜봐 달라”고 답했다.
국민의당 이용주 의원은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의 ‘보도 통제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황교안 국무총리는 “내용을 정확히 파악한 상황은 아니지만, 홍보수석으로서 협조 요청을 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어 “직접 들어보지는 못했다. 이번 사안은 동기와 의도가 무엇인지 면밀히 확인해야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황 총리는 “(논란에 대해) 국민들이 걱정하시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범계 의원은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어버이연합 자금 지원에 대한 수사 진행 상황과 관련, 김 장관에게 “어버이연합은 박근혜 대통령 보위 단체냐”, “전경련이 차명계좌로 어버이연합을 지원하는 것이 정상적인 민주공화국의 모습이냐”는 등 강도 높은 질문을 했다. 김 장관이 이에 대해 “수사가 진행 중이니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 “수사가 진행 중이라 이 자리에서 말씀드리기 어렵다”는 답변으로 일관하자 박 의원은 “법무장관이 국회를 모독하고 있다”고 비난했고 새누리당 의원들은 “사과하라”며 반발해 본회의장에 잠시 소란이 일었다.
이날 새누리당 복당 뒤 처음으로 본회의에 참석한 윤상현 의원은 박 의원 바로 다음 순서로 나서 “어버이연합이 박 대통령의 보위 단체인가”라고 질문해 황 총리로부터 “제가 알기론 전혀 (아니다). 시민단체다”라는 답변을 이끌어냈다.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은 4·13 총선에서 낙선운동을 벌인 참여연대의 ‘총선넷’ 페이지에 대해 엄정 수사를 촉구하며 “시민단체 기부금에 대한 공시를 강화하고 운영에도 정부가 관리·감독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기부에는 많은 장려가 있지만 불법이 있다면 철저히 판단을 내려야 한다”면서 “기부금 사용은 투명해야 하고 관리·감독 강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한편 더민주 표창원 의원은 최근 학교전담경찰관과 여고생의 성관계 파문과 관련, “잘생긴 경찰을 배치할 때부터 예견됐던 일”이라고 말해 논란을 빚었다. 그는 황 총리를 향해 “학교전담경찰 선발 기준을 인지도와 호감도 두 가지로 평가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황 총리는 “(지적이) 과도한 것으로 보인다. 경찰이 왜곡된 목표를 갖고 전담경찰 제도를 추진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6-07-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