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력 발한 親盧그룹…부활 발판 마련

위력 발한 親盧그룹…부활 발판 마련

입력 2010-06-03 00:00
수정 2010-06-03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盧 양날개 안희정-이광재 ‘정치적 복권’ 가능성 높아

‘노무현의 사람들’이 6.2 지방선거에서 부활의 날개를 폈다.

 최대 격전지인 서울을 탈환하는데는 실패했지만 영남과 충청,강원 등 야권의 전통적 약세 지역에서 교두보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천안함발(發) ‘북풍’에 가려지는 듯했던 ‘노풍’(盧風)이 숨은 위력을 발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친노 인사가 도전한 광역단체장 선거지는 서울(한명숙).경기(유시민).충남(안희정).강원(이광재).부산(김정길).경남(김두관).광주(정찬용).대구(김충환).경북(유성찬) 등 9곳으로,충남,강원,경남 등 3곳에서 승리했다.

 야권으로선 이들 지역의 승리가 민선 지방자치 도입 15년만에 처음으로,노 전 대통령의 유업인 지역구도 타파 측면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는 평이다.

 특히 ‘좌(左)희정,우(右)광재’로 불리며 노 전 대통령과 함께 정치적 부침을 겪었던 안,이 당선자가 각각 충남과 강원에서 재기에 성공하면서 386 차세대 주자로서의 입지를 굳힐 것으로 관측된다.

 안 당선자는 충청 표심의 주요 변수였던 세종시 민심과 동정론 등을 등에 업고 고지를 점령했고 지난해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돼 구속된 뒤 정계은퇴까지 선언했던 이 당선자는 ‘강원도 소외론’을 앞세워 역전극을 연출했다.

 ‘리틀 노무현’으로 불려온 김두관 후보도 불모지인 영남에서 진지를 구축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들 3인 모두 40∼50대 초반으로,인물론에 기댄 세대교체 기대감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반면 참여정부 국무총리 출신으로 첫 여성 서울시장에 도전했던 민주당 한명숙 후보는 밤새 초박빙의 혼전 끝에 한나라당 오세훈 당선자의 벽을 넘지 못했다.하지만 여론조사상의 큰 지지율 격차와 달리 석패해 야권내에서 ‘지고도 이긴 선거’라는 평도 듣고 있다.

 야권 단일후보로 경기지사 선거에 나선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도 진보신당 심상정 후보와의 추가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분루를 삼켰다.

 청와대 비서실장 출신으로 광주 구의원 선거에 출마한 같은 당 이병완 후보는 민주당 텃밭에서 당선되는 선전을 펼쳤다.

 이밖에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김만수 전 청와대 대변인(부천)을 비롯,김성환(노원),김영배(성북),차성수(금천) 당선자 등 상당수 참여정부 출신 인사들이 당선됐다.

 연합뉴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화보] 당선자들 환희의 순간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