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의 책을 소유하려 야단법석이다.
야단법석(野壇法席)은 불교에서 전해진 말로, 야외에서 부처님 말씀을 듣도록 마련된 자리라는 뜻이다. 많은 사람이 모여들어 떠들썩하고 부산스럽게 구는 모습을 나타낸다. 법정스님이 남긴 ‘말의 빚’을 다시 새기기 위해 그의 책을 구하려는 독자들의 모습이 야외에서 설법을 들으려 장사진을 친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법정스님이 “자신의 출판물을 더이상 출간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는 소식에 독자들이 부산스럽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서 법정스님의 책을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다. 대형 서점은 물론 온라인 서점,동네 중소 서점,헌책방에서도 모두 동이 났다. 일부 개인간 경매사이트에서는 웃돈이 얹어지며 값이 뛰기도 했다.
’법정스님 책 품귀현상’은 지난 5일 법정 스님이 위독하다는 소식이 알려진 뒤 빚어졌다. 11일 열반에 들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그나마 남아있던 물량도 발빠른 사람들의 손에 들어갔다.
17일 ‘책을 출간하지 말라’는 유언은 품귀를 품절로 만들었다.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의 교보문고를 찾은 한모씨는 “온라인 서점에서는 모두 품절로 나와 직접 와봤는데 역시 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동네서점과 헌책방에서도 재고가 떨어진 지 오래다. 서울 성북구 정릉동의 한 서점 주인은 “이미 1주일전부터 그 책들을 구할 수가 없었다.”며 “출판사에 문의해도 별 방법이 없었다.”고 전했다.
일부 이같은 품절 현상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다. 17일 오후 온라인 중고장터(카페)에는 ‘무소유’의 가격을 최대 5만원까지 부르는 이도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네티즌은 “스님이 무소유를 계속 말씀하셨는데 그걸로 돈벌이를 하려 하다니 씁쓸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7일 공개된 법정스님의 유언장에는 “내 이름으로 출판된 모든 출판물을 더 이상 출판하지 말아 주십시오.”라고 쓰여 있었다. 이에 대해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측은 “독자들을 위해 언제든지 스님의 글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서울신문 최영훈기자 taiji@seoul.co.kr
☞ [포토] 법정 스님 마지막 가시는 길에는…
야단법석(野壇法席)은 불교에서 전해진 말로, 야외에서 부처님 말씀을 듣도록 마련된 자리라는 뜻이다. 많은 사람이 모여들어 떠들썩하고 부산스럽게 구는 모습을 나타낸다. 법정스님이 남긴 ‘말의 빚’을 다시 새기기 위해 그의 책을 구하려는 독자들의 모습이 야외에서 설법을 들으려 장사진을 친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법정스님이 “자신의 출판물을 더이상 출간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는 소식에 독자들이 부산스럽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서 법정스님의 책을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만큼 어렵다. 대형 서점은 물론 온라인 서점,동네 중소 서점,헌책방에서도 모두 동이 났다. 일부 개인간 경매사이트에서는 웃돈이 얹어지며 값이 뛰기도 했다.
’법정스님 책 품귀현상’은 지난 5일 법정 스님이 위독하다는 소식이 알려진 뒤 빚어졌다. 11일 열반에 들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그나마 남아있던 물량도 발빠른 사람들의 손에 들어갔다.
17일 ‘책을 출간하지 말라’는 유언은 품귀를 품절로 만들었다.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의 교보문고를 찾은 한모씨는 “온라인 서점에서는 모두 품절로 나와 직접 와봤는데 역시 구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동네서점과 헌책방에서도 재고가 떨어진 지 오래다. 서울 성북구 정릉동의 한 서점 주인은 “이미 1주일전부터 그 책들을 구할 수가 없었다.”며 “출판사에 문의해도 별 방법이 없었다.”고 전했다.
일부 이같은 품절 현상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나타났다. 17일 오후 온라인 중고장터(카페)에는 ‘무소유’의 가격을 최대 5만원까지 부르는 이도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네티즌은 “스님이 무소유를 계속 말씀하셨는데 그걸로 돈벌이를 하려 하다니 씁쓸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7일 공개된 법정스님의 유언장에는 “내 이름으로 출판된 모든 출판물을 더 이상 출판하지 말아 주십시오.”라고 쓰여 있었다. 이에 대해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측은 “독자들을 위해 언제든지 스님의 글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서울신문 최영훈기자 taiji@seoul.co.kr
☞ [포토] 법정 스님 마지막 가시는 길에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