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인 인구 2028년 200만명 돌파 예상

서울 노인 인구 2028년 200만명 돌파 예상

입력 2010-09-28 00:00
수정 2010-09-28 1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 노인 인구가 2012년 100만명을 넘어서고 2028년에는 2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8일 e-서울통계 제39호를 통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6월 말 기준 96만6천여명으로 전체 서울인구의 9.3%를 차지했으며,2012년에는 노인 비율이 10.3%에 달하고 2028년에는 20%를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반면 생산가능 인구인 15∼64세는 계속 감소해 현재 8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지만 2027년에는 3명이 책임져야 할 전망이다.

 노인 가구주도 올해 52만7천가구(14.8%)에서 2030년에는 115만7천가구(29.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의 홀몸노인은 19만9천559명이고 이 중 14만2천116명(71.2%)이 여성이다.

 10만명 당 노인 사망자 수는 2천768.6명으로 2000년의 4천72.7명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노인 사망원인 1위는 암이고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까지 합쳐 3대 질병으로 인한 사망의 비중이 49.3%에 달했다.

 2000년에 비하면 뇌혈관질환이 10만명 당 708.4명에서 331.4명으로 줄어드는 등 3대 질병은 감소했지만 자살은 25.4명에서 63.3명,알츠하이머는 6.6명에서 28.2명으로 급증했다.

 65세 이상 노인의 59.0%는 직장이나 노인정 등 모임이 있다고 답했고,이런 경우 사회생활 만족도가 평균 7.0점 높았다.

 지난해 60세 이상 노인은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난(44.5%)을 꼽았고 이어 건강(31.0%),소일거리 없음(7.1%) 등 순이었다.

 지난해 노인 취업자는 41만3천명으로 전체 취업자 중 8.5%에 불과했다.

 본인과 배우자가 생활비를 부담하는 노인은 61.3%,자녀와 친척 지원은 29.8%,정부와 사회단체 지원은 8.7%였다.

 2005년에 비하면 본인 부담은 3.3%포인트,정부 지원은 5.9%포인트 높아졌지만 자녀와 친척 지원은 8.9%포인트 하락했다.

 60세 이상 노인 중 40.1%는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데,이는 불과 2년 전에 비해 15.8%포인트나 줄어든 것이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묵묵히 국민과 시민의 보편체육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생활체육지도자의 헌신을 기억하며,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우개선 정책 실행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현실을 들어보면 정당한 보상조차 이뤄지지 못한 일들이 많다”라고 강조하면서, 생활체육지도자들의 “20년을 일해도 신입과 급여가 같아 생계유지가 어렵다”라는 호소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2025년도 4월을 기준으로 도봉구, 마포구, 송파구 3개 자치구는 공무원보수규정을 준용해 생활체육지도자에 대한 호봉제를 시행하는 등 자체적으로 처우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볼 때 서울시도 기계적인 보조금 집행만으로 제 할 일 다했다고 자부할 게 아니라 생활체육지도자의 사기를 저해하는 요인을 점검하고, 이를 혁파해 시민들의 생활체육 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현재 단일급 체계로 급여를 받는 생활체육지도자들에게는 직업 활동이 어떠한 유인도 자극도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콕 짚어 이야기하면서 “지금과 같은 급여 구조로는 돈은 돈대로 쓰면서 성과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20년 근속자와 신입 급여 동일선...호봉제 도입 절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