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0∼40대 건강관리 ‘빨간불’

서울 30∼40대 건강관리 ‘빨간불’

입력 2012-01-29 00:00
수정 2012-01-29 1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트레스 인지율ㆍ고위험 음주율 높아…e-서울통계

서울에 사는 30~40대 연령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관리에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9일 e-서울통계 55호에서 통계청의 2011년 사회조사ㆍ사망원인 자료와 보건복지부ㆍ질병관리본부의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등의 자료를 분석, ‘통계로 보는 서울시민의 건강’을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만 13세 이상 4천600여명, 지역사회건강조사는 만 19세 이상 2만2천900명을 대상으로 각각 이뤄졌다.

분석 결과 최근 1년 동안 음주한 사람 중 고위험 음주율을 연령별로 보면 40대(18.1%)와 30대(17.0%)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았다. 고위험 음주율은 남자는 한번 술자리에서 7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시는 경우를 말한다.

’현재 흡연을 하고 있다’는 연령층도 30대(29.8%)와 40대(26.3%)가 높았다.

평소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낀다는 응답 역시 30대가 34.3%로 가장 높았고 40대가 32.3%로 뒤를 이었다.

반면 ‘주 5일 이상 1회 30분 이상씩 걷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30대(51.5%)와 40대(52.1%)’가 19~29세(62.1%), 50대(58.1%), 60대(59.7%) 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2010년 서울의 사망자는 모두 4만129명으로 하루 평균 110명이 숨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망 원인으로는 암(1만2천122명, 30.2%)이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뇌혈관 질환(3천882명, 9.7%), 심장 질환(3천298명, 8.2%)이 이었다.

암 사망률은 1985년 인구 10만명당 63.4명에서 2010년 119.1명으로 25년 동안 2배 높아진 반면 뇌혈관 질환 사망률은 같은 기간 61.2명에서 38.1명으로 줄었다.

이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과도한 스트레스, 음주, 흡연,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암 중에서 폐암 발병률이 10만명당 23.2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간암(17.5명), 위암(16.7명), 대장암(13.9명), 췌장암(7.7명) 등의 순이었다.

한편 13세 이상 서울 시민은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복지 서비스’로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서비스(39.6%)를 1위로 꼽았다.

19세 이상 서울 시민은 건강관리 방법으로 중등도 이상의 격렬한 신체활동보다는 걷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