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탑골공원 ‘3·1독립선언서’ 영문번역 엉망

서울 탑골공원 ‘3·1독립선언서’ 영문번역 엉망

입력 2013-03-01 00:00
수정 2013-03-01 04: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문가들 “문장 왜곡에 어색한 표현, 오자 투성이”

“우리는 이에 우리 조선이 독립한 나라임과 조선 사람이 자주적인 민족임을 선언한다. 이로써 세계 만국에 알리어 인류 평등의 큰 도의를 분명히 하는 바이며, 이로써 자손만대에 깨우쳐 일러 민족의 독자적 생존의 정당한 권리를 영원히 누려 가지게 하는 바이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발표한 독립선언서의 첫 문단이다.

시인이자 당대 최고 문장가이던 육당(六堂) 최남선이 쓴 이 선언서는 지금도 명문장으로 통한다.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인 이희승 박사가 쓴 현대어 풀이본도 마찬가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데 3·1운동이 일어났던 서울 종로2가 탑골공원에 설치된 독립선언서 영문 번역본은 어색한 표현과 오자, 원문의 뜻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거나 왜곡한 문장 투성이어서 당대의 명문장인 원문의 격을 심각하게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연합뉴스가 탑골공원에 있는 독립선언서 영문본을 살펴보고 영문학자들에게 자문한 결과, 이 같은 오류나 적절하지 않은 번역이 한눈에도 적지 않은 곳에서 발견됐다.

일례로 선언서 두번째 문단 ‘5천 년 역사의 권위를 의지하여 이를 선언함이며’는 ‘We make this proclamation having back of us 5000 years of history’라고 번역돼 있다.

하지만 ‘have back of us’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다. 이는 ‘on the foundation of 5000 years of history’ 정도로 충분히 풀어쓸 수 있다고 학자들은 지적했다.

넷째 문단의 ‘슬프다! 오래전부터의 억울을 떨쳐 펴려면’은 ‘Assuredly, if the defects of past are to be rectified’로 번역됐다.

’슬프다’는 의미가 다른 ‘Assuredly’(기필코)보다 ‘Alas’ ‘Woe to us’ 등 원문의 감정을 살리는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뒷부분은 ‘과거의 결함을 바로잡으려면’으로 해석돼 외세 침략에 따른 민족의 비통함을 드러낸 원문의 느낌이 사라졌다는 게 학자들의 견해다.

선언문 아래 붙은 ‘공약 3장’ 중 첫 문장은 원문의 표현을 아예 빼버렸다.

’오늘 우리의 이번 거사는 정의, 인도와 생존과 영광을 갈망하는 민족 전체의 요구’ 부분을 번역문은 ‘This work of ours is in behalf of truth, religion, and life, undertaken at the request of our people’로 옮겼다.

’정의’를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일반적으로 쓰는 단어는 ‘justice’인데 ‘진실’ 또는 ‘진리’에 가까운 ‘truth’를 썼다. 원문에는 ‘종교’(religion)라는 말이 없고, ‘morality’ 정도로 번역 가능한 ‘인도(人道)’는 번역 과정에서 아예 빼버렸다. ‘생존’은 ‘life’ 대신 ‘survival’이 더 적절하다.

이어지는 ‘결코 배타적인 감정으로 정도에서 벗어난 잘못을 저지르지 마라’는 ‘누구에게도 폭력이 가해지게 하지 마라’(let no violence be done to any one)로 단순하게 의역, 원문의 격조를 살리지 못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다른 문장에서는 ‘혹심한 추위가 사람의 숨을 막아 꼼짝 못 하게 한 것’을 번역하면서 ‘사람’이라는 주어 대신 ‘insect’(곤충)를 쓰기도 했다. 심지어 ‘sincere’를 ‘sincero’라고 쓴 오자까지 나왔다.

국내 한 대학 강사로 재직 중인 호주인 M(38)씨는 선언문 영역본을 살펴보고는 “너무 문제가 많아 계속 읽기조차 어려운 수준”이라며 “수많은 오류를 다 고치려면 상당히 많은 시간이 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문과 출신으로 영어를 강의하는 한 학원 원장 김모(32·여)씨는 “멋대로 표현을 빼버리고 문법에 맞지 않는 부분도 발견되는 등 엉망진창”이라며 “외국인이 이런 문장을 보고 과연 3·1절의 역사적 의미를 알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관할 자치단체는 선언문 번역자가 누구인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종로구청 관계자는 “1980년에 선언문 비문을 세웠는데, 당시 설치를 서울시가 담당해 번역자가 누구인지 여기서는 알 수 없다”며 “자치구에서는 비문을 관리만 하지 그 역사나 내용상 오류 등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서울시의 담당 부서 관계자도 “번역자가 누구인지 전혀 모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모아타운, 신통기획 등 사업 속도 ‘쭉’ 올라…금천구 모아주택 2곳 모두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21일 개최된 제11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에서 금천구 소재 모아주택 2곳의 사업시행계획안이 모두 통과된 것에 대해 “더 높이 더 빠르게, 금천구 숙원사업이 드디어 본격 궤도에 올랐다”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이번에 통과된 금천구 모아주택 사업은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모아주택 ▲시흥3동 943번지 일대 모아주택 2곳으로 총 1409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시흥4동 817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2030년까지 총 817세대가 공급된다. 12개동, 지하5층, 지상 35층 규모로 건설, 용적률 완화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2종 일반주거지역→ 제3종 일반주거지역)을 모두 가져간다. 호암산 조망과 함께 최신 친환경 설계가 적용된 프리미엄 주거단지로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지역은 국토교통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1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선정됐고, 기존 2개 구역을 통합하여 사업시행구역 면적을 확대해 체계적으로 추진되어 온 만큼, 사업 안정성과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시흥3동 943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2030년까지 총 592세대를 공급한다. 7개 동, 지하 4층, 지상 20층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모아타운, 신통기획 등 사업 속도 ‘쭉’ 올라…금천구 모아주택 2곳 모두 통합심의 통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