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여객선 침몰 참사] “천안함 때보다 시야·조류·유속 심각…잠수부 500명 통제 안돼 혼란 가중”

[진도 여객선 침몰 참사] “천안함 때보다 시야·조류·유속 심각…잠수부 500명 통제 안돼 혼란 가중”

입력 2014-04-19 00:00
수정 2014-04-19 0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베테랑 잠수부가 전하는 현장

“천안함 때보다 상황이 훨씬 심각합니다. 시야와 조류, 유속 등 모든 조건이 역대 최악입니다.”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구조본부장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구조본부장
전남 진도 해상의 여객선 세월호 침몰 현장에서 구조·수색 활동에 안간힘을 쓰고 있는 황대식(56) 한국해양구조협회 구조본부장은 1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물살의 흐름이 가장 느려지는 정조 시간조차도 유속이 상당히 빠르다”면서 “백령도, 율도, 인천 지역이 조류가 센 편인데 사고 해역이 더 강하다”고 말했다.

황 본부장은 2010년 천안함 침몰 현장에서도 구조 활동을 펼친 베테랑 민간 잠수부로 꼽힌다.

황 본부장은 걷잡을 수 없는 바닷물의 흐름이 구조 작업을 어렵게 하는 핵심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사고 지점의 최고 유속은 10㎞/h가량이다. 유속이 3노트(약 5.6㎞/h) 이상이면 보통 잠수하기에는 어려운 환경으로 분류된다.

황 본부장은 “자신이 뻗은 손조차 보기 어려울 정도로 시야 확보가 어렵다”면서 “잠수자들이 난간 등에 안전장치를 묶어야 하는데 물결에 따라 몸이 요동치는 바람에 이조차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미숙한 정책도 구조 활동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황 본부장은 “천안함 구조 작업 땐 역량이 검증된 인원만 투입돼 체계적으로 구조 활동이 이뤄졌지만 이번엔 잠수부 통제가 안 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실제로 잠수에 투입되는 인원은 5명가량인데 잠수부 500여명이 구조한다고 나서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진도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4-04-1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