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계획 新풍속도 ‘스테이케이션’
2030 직장인 사이에서 어느 카드사의 광고 문구처럼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 하는” 여름휴가 바람이 늘고 있다. 경기 침체에 따른 ‘심리적 불황’과 피로가 넘치는 ‘과로사회’의 풍조가 반영된 세태로 풀이된다.
대기업 직장인 조모(27·서울)씨는 올여름 부산의 부모님 댁을 방문한 것으로 휴가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조씨는 “전세자금 대출의 원리금 상환 부담도 큰 데다 고향에서 지친 마음을 달래고 싶다”고 말했다.
●여행 갈 돈도 힘도 없어… 맘 편히 쉬는 게 휴식
젊은 직장인들의 ‘조용한 휴가’ 선호 경향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여론조사 전문기업 마크로밀엠브레인의 ‘트렌드모니터’가 지난달 25~30일 전국의 19~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여름휴가 때 여행을 가지 않아도 좋다’는 의견이 20~30대에서 절반(20대 40.0%, 30대 50.8%)에 달했다.
집에서 조용히 휴가를 보내려는 2030의 이 같은 풍조를 가리켜 ‘스테이케이션’(‘머무르다’라는 뜻의 ‘스테이’(stay)와 휴가를 뜻하는 ‘베이케이션’(vacation)의 합성어)이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경기 침체 따른 심리적 불황·과로사회 반영
전문가들은 격무에 시달리는 직장인들 사이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휴식’이라는 인식이 커진 것으로 진단한다.
‘과로사회’의 저자 김영선씨는 13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20~30대는 사회 초년병이라 상대적으로 금전적 부담을 많이 느끼는 세대이지만 경제적 이유만으로 ‘스테이케이션’을 설명하기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근사한 곳으로 멀리 떠나야 한다는 과시적인 자기기만보다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위 자체가 합리적인 선택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라며 “멍 때리는 것을 시간 낭비, 게으름으로 보던 사회적 인식이 달라지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07-1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