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묻지마 살인범’ 범죄동기 밝혀낸 프로파일러 ‘여성 3인방’

‘강남 묻지마 살인범’ 범죄동기 밝혀낸 프로파일러 ‘여성 3인방’

입력 2016-05-28 09:53
수정 2016-05-28 09: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직접 수갑 채우진 않지만, 사건 해결에 꼭 필요한 존재죠”

“최근 투입된 한 살인사건에서 도통 입을 열지 않던 핵심 관련자들을 심리 면담한 끝에 결국 자백을 받아냈죠. 직접 수갑을 채운 건 아니지만 사건 해결에 일조했다는 생각에 돌아오는 길에 정말 신났습니다.”

최근 강남역 인근 주점 건물 화장실에서 일면식도 없는 남성에게 20대 여성이 살해당한 일이 일어난 뒤 피의자의 범행 동기에 세간의 관심이 쏠렸다.

경찰이 “여성에게 항상 무시당했다”는 피의자 진술을 공개하면서 여성혐오 범죄 논란이 일었고, 범행 동기를 밝혀내는 데 프로파일러(범죄분석요원)들이 활약했다.

27일 오후 서울지방경찰청 형사과 과학수사계 행동과학팀 소속 프로파일러인 이주현(37·여) 경사, 이상경(33·여) 경사, 한상아(25·여) 경장을 만났다.

이들은 이번 강남 화장실 살인사건 뿐 아니라 ‘트렁크 시신’ 김일곤 사건, 관악서 황산테러, 새마을금고 강도 등 서울에서 일어난 굵직한 범죄들을 분석했다.

명함에 적힌 정식 직함은 범죄행동분석 전문수사관이다. 이곳에는 세 사람 말고도 두 사람의 남성 프로파일러가 함께 근무 중이다.

이들은 이번 사건에서 피의자 김모(34·구속)씨를 면담하고 밤을 새워 머리를 맞대 그의 심리를 분석, 범행 동기를 밝혀내는 데 일조했다.

프로파일러들은 대부분 심리학 전공자들이다. 이주현 경사는 경북대, 이상경 경사는 이화여대에서 심리학을 공부했다. 유학파인 막내 한 경장도 홍콩중문대에서 사회문화심리학을 전공했다.

이들은 이번 사건을 여성혐오 범죄가 아닌 ‘묻지마 범죄’로 규정한 경찰에 비판이 쏟아진 것과 관련, 사회적인 논의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경 경사는 “지금 경찰이 분류하는 범죄 종류 중 하나로 자리잡은 묻지마 범죄도 10년 전만 해도 없었던 용어였다”며 “많은 분이 느끼는 부분이 있다는 방증인 만큼 이 부분에 대해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드라마 ‘시그널’로 최근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경찰에 도입된 지 10여년 밖에 안된 신종 분야라, 이들은 프로파일러 분야의 개척자들이나 다름 없다.

지난해 홍콩중문대학을 졸업하고 올해 2월 합류한 경력 4개월차 막내 한 경장은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프로파일러가 수사의 주인공처럼 그려진다”며 “하지만 막상 겪어보니 사건 해결에 필요한 부속품 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주현 경사는 “처음엔 우리가 먼저 나서서 사건이 발생한 경찰서에 연락해 사건을 분석해보고 싶다고 부탁해야 했다”면서 “지금은 한 달에 12∼13건 정도 분석 의뢰가 들어올 정도로 경찰 내부의 인식이 넓어졌다”고 말했다.

보통은 살인이나 강도, 강간, 방화 등 강력 범죄를 분석하는데, 최근에는 경제범죄 분야를 수사하는 곳에서도 범행 분석을 요청할 정도로 활동 범위가 커지고 있다.

이들은 프로파일러 분야가 여성이 두각을 드러낼 수 있는 곳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주현 경사는 “전체 프로파일러의 70% 가량이 여자”라며 “꼼꼼히 정리하고 논리적으로 추론·분석 하는 일이 많아 여성들의 성향에 잘 맞는다”고 말했다.

한 경장은 “아직은 우리 프로파일러들이 ‘있으면 좋은 나사’처럼 수사에 보조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빠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나사’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