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피해 낮에는 실내서, 밤엔 한강으로…한증막 된 서울

폭염 피해 낮에는 실내서, 밤엔 한강으로…한증막 된 서울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17 20:31
수정 2018-07-17 2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합쇼핑몰·무더위쉼터 등에 ‘피서행렬’…열대야에 한강둔치 연일 ‘북적’

숨이 턱턱 막히는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은 17일에도 한낮 수은주가 32도를 넘어섰다. 고층건물과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심은 마치 한증막이나 찜통 같은 열기를 자아냈다.
이미지 확대
‘혼자만의 피서’
‘혼자만의 피서’ 서울 최고기온 32도를 기록한 17일 서울 홍제천에서 한 시민이 더위를 피하고 있다. 2018.7.17
연합뉴스
시민들은 낮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면서 냉방이 잘 되는 실내에서 더위를 피했다. 밤에도 며칠째 이어지는 열대야로 잠을 청하기 힘들자 가족, 친구들과 한강 둔치 등을 찾는 이들이 많았다.

서울은 이날 오후 낮 최고 기온 32.1도를 찍으며 더위가 절정을 이뤘다. 평년 낮 최고 기온인 28.2도보다 3.9도나 높았다.

34도까지 올랐던 전날보다 온도가 약간 낮기는 했으나 30도를 넘는 기온에 최소 45% 이상의 습도가 더해져 무덥기는 마찬가지였다.

직장인 한모(31) 씨는 “야외에서 5분만 걸어도 금세 지쳐버린다”고 하소연했다.

이날 시민들은 에어컨이 나오는 실내에 최대한 머무르면서 더위를 피하려는 모습이었다.

서울의 대표적인 실내 복합쇼핑몰인 삼성동 코엑스는 점심시간이 되자 방학을 맞은 대학생에 인근 직장인까지 몰려 인산인해를 이뤘다.

직장인들은 시원하게 땀을 식히면서 가볍게 배를 채울 수 있는 면 요리 집 앞마다 10여m씩 줄을 섰다.

한 국숫집 앞에 줄을 서 있던 성 모(34) 씨는 “아무리 줄이 길어도 실내에서 기다리는 게 낫겠다 싶어 코엑스로 왔다”면서 “시원한 냉콩국수를 먹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열치열’이라며 오히려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찾는 이들도 있었다. 주꾸미 전문점을 찾은 최모(28·여) 씨는 “더울 때 매운 걸 먹으면 땀이 좀 나면서 오히려 더위가 날아간다”면서 “매운 걸 먹고 아이스크림을 먹어야 한다”며 웃었다.

커피숍과 아이스크림 가게는 빈자리가 나면 곧바로 서서 기다리던 사람이 뛰어가 자리를 차지할 정도로 손님이 끊이지 않았다.

직장인 황모(33) 씨는 “요 며칠 내내 가만히 앉아만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를 정도로 덥다”면서 “무더위가 이어지니까 아무것도 하기 싫고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데, 이럴 때는 그냥 회사도 방학하는 게 차라리 낫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삼성동의 한 노인 복지관 바둑실에서도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이 잘 쐬지는 자리가 인기였다.

바둑 훈수를 두던 김모(71) 씨는 “집에서 에어컨을 틀면 전기세 아까우니까 한여름에는 복지관을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오후 7시에도 기온이 31도를 유지하며 무더위가 꺾이지 않았다.

계속되는 열대야에 며칠째 밤잠을 설친 시민들은 저녁에도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는 열기를 피해 한강 둔치에 자리를 잡고 강바람에 더위를 식혔다.

열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시내 한복판과 달리 한강에는 높은 기온에도 간간이 불어오는 바람에 다소 시원한 느낌마저 들었다.

여의도 한강공원에는 돗자리를 들고 나들이를 나온 시민들이 눈에 띄었다. 원효대교 아래와 나무 그늘에는 돗자리를 깔고 앉아 더위를 피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여자친구와 나무 그늘에서 쉬고 있던 대학생 박 모(24) 씨는 “실내보다 덥기는 하지만, 에어컨 바람보다 자연풍을 느끼고 싶어 나왔다”며 “가만히 그늘에 앉아 있으면 생각보다 시원하다”고 말했다.

남편과 함께 강아지를 산책시키던 유 모(56·여) 씨는 “온종일 에어컨을 켤 수 없어서 그나마 시원한 한강에 나왔다”며 “밤늦게까지 한강에 있다가 시원해지면 집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했다.

서울시는 폭염이 이어지자 냉방시설이 설치된 주민센터, 복지회관, 경로당 등 3천200여 곳을 무더위 쉼터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무더위 쉼터에서는 실내온도를 26∼28도로 유지한다. 일부 쉼터는 연장 쉼터로 지정돼 폭염특보 발령 시 오후 9시 이후와 주말까지 연장 운영한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