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경찰서, 국민 대상 설문조사..평가 반영경찰청이 조사한 올해 국민의 체감안전도는 지난해 보다 소폭 하락해 76.5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이브 스루(Drive Thru)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경찰.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드라이브 스루(Drive Thru)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경찰. 뉴스1
13일 경찰청이 지난 4~10월 전국 경찰서별로 200명씩 총 5만 14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한 조사결과(표본 오차 95% 신뢰수준에서 ±0.61%포인트)를 보면 국민의 종합 체감안전도는 76.5점으로 나타났다. 역대 점수가 가장 높았던 지난해에는 77.7점이었다.
분야별로는 범죄 안전도가 83.3점으로 지난해보다 0.1점 올랐으며, 교통사고 안전도도 73.5점으로 0.4점 올랐다. 반면 법질서 준수도는 67.2점으로 6.1점 하락했다. 지역별 체감안전도는 세종경찰청이 81.0점으로 가장 높았다. 세종은 절도·폭력, 강도·살인, 여성 대상 범죄 등 세부 범죄별 안전도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체감안전도가 가장 낮은 곳은 인천경찰청으로 73.4점이었다. 범죄별 안전도에서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느끼는 체감안전도가 77.7점으로 여성(75.3점)보다 높았다.
경찰 활동에 대한 평가는 교통안전 부문이 71.8점으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고, 법질서 위반단속(71.6점), 우범지역 순찰(71.6점), 공동체 치안(68.2점) 순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매년 전국 경찰서별로 체감안전도를 조사해 시도 경찰청·경찰서 평가에 5%를 반영한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