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기 올라간 K-MOOC, 국·영문 자막 입힌다

코로나19로 인기 올라간 K-MOOC, 국·영문 자막 입힌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01-26 12:46
수정 2022-01-26 13: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258억원 투입, 300편 추가...한국형 마스터 클래스 운영

일반인에게 대학 수준 강의를 온라인으로 무료 제공하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케이무크)’가 올해부터국·영문 자막을 제공한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케이무크에 258억원을 투자해 300편의 강의를 확대하는 내용의 ‘2022년 K-MOOC 사업 기본계획’을 26일 발표했다.

올해 신규 개발 강좌는 국문과 영문 자막을 필수 개발·제공하도록 해 외국인 학습을 지원한다. 인기 강좌의 경우 외국 진출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뜻이다.

지난해 새로 기획한 ‘한국형 마스터 클래스’를 올해도 이어간다. 인문·사회·과학 등 국내외 석학 강좌를 제공하고 탄소중립·신기술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다큐멘터리형 강좌(40명·200편 안팎)도 확대한다.

올해 대학 정규학점 인정(지난해 577개 과정)을 비롯해 일반인 K-MOOC 학점은행제 학점 인정 확대, 기업·공공기관 등의 재직자 교육 활용 등도 추진한다.

또 맞춤형 학습 컨설팅과 진도관리, 코딩 실습, 가상·확장현실(VR·XR) 동영상 탑재 등 운영체제 기능도 개선할 계획이다.

2015년 시작한 K-MOOC는 홈페이지에서(kmooc.kr)에서 회원 가입하면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다. 현재 1358개 강좌를 제공하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기가 올라가 가입자 수는 전년 대비 30% 증가한 96만명, 수강 신청은 33.6% 늘어난 226만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수강신청 상위 강좌는 ‘세계로 통하는 한국어: 초급 I’(성균관대 김경훤 교수 외), ‘위대한 수업1: 누가 진정한 리더인가’(EBS, 조지프 나이), ‘경제학 들어가기’(서울대 이준구 교수) 등이다.

올해 신규 강좌는 3∼4월 중 선정해 올 하반기부터 공개한다. 신규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이나 개인, 교육기관 연합체 등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제출하면 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