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월부터 운행을 시작한 군산시티투어 버스. 군산시 제공
최근 각 지역에서 이색 시티투어버스 도입을 통환 관광객 모시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지역 대표 관광지를 알리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문화시설 홍보하겠다는 취지다. 특히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포토 스팟, 맛집, 카페 등 관광 코스도 점차 다양해지는 모습이다.
16일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코로나로 멈춰 섰던 시티투어버스 운행을 재개하거나 변화한 여행 트렌드에 맞춘 새로운 관광 코스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빵의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충남 천안시는 주말에 ‘빵카달달 시티투어 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3월 4일부터 총 60회 주말마다 본격 도심을 누비게 되는 이 버스는 청동대좌불, 태조산 둘레길 등 대표 관광지는 물론 빵과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코스로 구성됐다.

창원시 ‘바다를 품은 해양관광지로’ 홍보 포스터.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시는 다음 달까지 ‘바다를 품은 해양관광지로’라는 버스를 일시적으로 운행한다. 콰이강의 다리 스카이워크와 해양드라마세트장 등 창원의 주요 해양 관광지를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 남구도 3월부터 테마형 투어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우수한 역사와 문화자원을 보유하고도 해운대구 등에 가려져 알려지지 못했던 남구의 매력을 집중 알린다는 계획이다. 전북 군산시, 김제시는 지역 대표 새만금 등을 둘러볼 수 있는 시티투어버스 운행을 통해 새만금의 변화를 확인시켜주겠다는 방침이다.
시티투어버스는 요금이 1만원 이내로 저렴하다. 직접 관광지를 검색할 필요가 없고 대중교통보다 이동이 쉽다는 장점도 있다. 또 울산 등 일부 지역은 여행용품 꾸러미와 같은 기념품도 제공하며 승객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올해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보고 사업을 더 확대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