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심속 ‘서방상가 지하터널’ 24년째 방치

광주 도심속 ‘서방상가 지하터널’ 24년째 방치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3-05-31 16:04
수정 2023-05-31 16: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4년째 방치 버려진 공간 전락..2호선 연계도 좌초
풍향사거리~동신고간 135m 맨홀 유일한 출입구

이미지 확대
광주 북구 풍향동 서방지하상가 내부 모습. 북구의회 제공
광주 북구 풍향동 서방지하상가 내부 모습. 북구의회 제공
광주광역시 북구 풍향동 서방상가 지하에는 24년째 버려진 터널이 있다. 지상에 있는 서방시장의 입구 8차선 도로 밑에 있는 135m의 터널이다. 터널 출입구는 차들이 달리는 도로 위 맨홀 뚜껑이 유일하다.

당초 이름은 ‘서방 지하상가’다. 광주시가 지역 활성화를 위해 북구 풍향동 동문로 사거리~동신고등학교 정문까지 지하 385m에 상가를 조성하려고 민자를 유치해 1997년 착공했다. 130억원을 들여 공사에 들어갔지만 2년 만에 중단됐다. 자금난과 IMF 경기침체 때문이다. 전체 공정의 31%에 불과하다. 시공사는 이때까지 설치한 지하 구조물과 주차장 터 등 시설물을 광주시에 기부채납했다.

이후 광주시는 서방 지하상가 활용방안을 모색한 끝에 두 차례 후속 공사를 하려고 했지만 번번이 중단됐다.

2013년 땅속 135m 공간에 LED(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식물공장을 조성하려고 했지만 사업성이 떨어지고 지하상가 내 지장물 이설 문제(추정 이설 비용 22억원)에 막혀 무산됐다.

또 광주도시철도건설본부가 도시철도 2호선 신설과 연계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했지만, 거액의 추가 예산이 필요해 타당성이 없다고 결론 짓고 중단했다.

현재 이곳은 도로로 복구됐지만 당시 시설물은 지하에 그대로 묻혀 있다. 관리 주체인 광주시는 ‘현 상태가 최상’이라는 안일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안을 마련할 의지조차 보이지 않는다. 6개월에 한 번씩 시설 균열 여부와 전기시설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있을 뿐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버려진 ‘도심 속 터널’을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지하 구조물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폭우나 지반침하로 더 큰 안전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당초 취지대로 지하상가를 조성하기가 어렵다면 원상복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구에 사는 박정호(65) 씨는 “예전에 지하상가가 만들어진다는 말을 들었고 부도가 나면서 공사가 중단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냥 공사가 중단됐다고 생각했는데 땅속이 터널이 방치되고 있는 줄은 전혀 몰랐다”고 말했다.

인근 주민들도 마찬가지다. 서방시장 지하공간이 버려져 있다는 것을 대부분 모르고 있다. 어쩔 수 없이 공사가 중단됐고 활용방안이 없다면 터널을 메우고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버려둔 채 많은 시민들 안전까지 위협받게 된다면 상황은 심각하다.

광주 북구의회 A의원은 “지하상가를 조성하기에는 풍향동 일대의 상권이 너무 죽었다”며 “그렇다고 24년 넘게 지하공간을 방치하는 것도 안전상 문제가 있다고 본다. 매립을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이에 광주시 한 관계자는 “6개월에 한 번씩 유일한 출입구인 맨홀을 통해 내부로 진입해서 시설 균열 여부와 전기시설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