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증인 진술 왜곡되고 오염돼…내란죄 실체 없어”

尹측 “증인 진술 왜곡되고 오염돼…내란죄 실체 없어”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5-02-05 13:51
수정 2025-02-05 1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어딘가를 바라보고 있다. 2025.2.4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어딘가를 바라보고 있다. 2025.2.4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대리인단은 전날 윤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증언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증인 신문을 통해 사실이 왜곡되고 진술이 오염됐음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은 5일 입장문을 통해 “검찰의 공소장에 적시된 사실에 대한 핵심 증인들의 증언이 크게 엇갈렸다”며 “민주당 정치인들의 증인들에 대한 회유와 이에 부화뇌동한 수사 기관들의 유도 신문, 이에 편승한 일부 언론의 왜곡 보도가 분명하게 확인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재판은 여론이 아니라 증거와 법리에 의해 이뤄져야 함에도 이처럼 여론 재판에 목을 매는 이유는 자명하다”며 “애당초 내란죄의 실체가 없기 때문이며, 선동과 조작이 아니고는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은 홍 전 차장에 대해 사실을 왜곡하고 오염된 진술을 했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이 윤 대통령에게 정치인 체포 지시를 받은 것이 아니고,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에게 명단을 받았을 뿐이며, 여 전 사령관이 체포 지시를 이야기한 사실도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은 “체포 명단을 적은 메모에 대해 앞뒤가 맞지 않는 증언을 하더니 결국 재판관으로부터 재차 질문을 받고 오류가 있었다는 점을 시인하기까지 했다”며 “반대 신문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았다면 홍 전 차장의 사실 왜곡과 오염된 진술들은 여전히 사실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홍장원(왼쪽)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 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2.4 연합뉴스
홍장원(왼쪽)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 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2.4 연합뉴스


전날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 국정원에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 국군방첩사령부를 도우라’고 말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다만 “누구를 잡아들여야 하는지는 전달받지 못했다”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했다. 또 여 전 사령관이 불러주는 체포 명단을 받아 적었다고 증언했다.

정형식 재판관은 홍 전 차장의 메모에 관해 직접 묻기도 했다. 정 재판관이 “(메모에) 위치 추적보다는 검거를 요청한 것에 더 주안점으로 써 놨는데 검거해달라고 여 전 사령관이 굳이 얘기할 필요가 없지 않나. 자기들이 검거하러 나가 있는데”라며 “그러면 거기다가 위치 추적, 검거 지원, 이런 식으로 적어 놓는 게 맞지 않나”라고 했다.

이에 홍 전 차장이 “생각나는 대로 갈겨 쓴 부분이기 때문에 다소 합리적이지 않게 적은 부분 인정한다”고 했다. 정 재판관이 메모를 정확하게 기재했어야 한다고 하자 홍 전 차장은 “정확하게 기재 못 해 죄송하다”고 했다.

또한 윤 대통령 측은 “대통령 탄핵 심판 엄중함을 고려해 신속한 심리가 아닌 신중한 심리를, 그리고 증거 법칙의 완화가 아니라 엄격한 증거 법칙에 의한 심리를 진행해야 한다”며 “하루에 여러 명의 증인을 신문하는 것 역시 방어권이 제한돼 졸속 심리로 이어지게 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