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지난해 12월 15일 가천대 길병원에서 반종학(57)씨가 뇌사 장기기증으로 6명의 생명을 살리고 인체 조직기증으로 100여명의 환자의 기능적 장애 회복에 희망을 선물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아빠가 우리 아빠여서 지금까지 이렇게 잘 커서 잘살게 된 것 같아. 언제나 보고 싶고, 아빠 사랑하고 하늘나라에서 건강해”
7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지난해 12월 15일 가천대 길병원에서 반종학(57)씨가 뇌사 장기기증으로 6명의 생명을 살리고 인체 조직기증으로 100여명의 환자의 기능적 장애 회복에 희망을 선물했다고 밝혔다.
반씨는 지난해 12월 11일 집 계단을 오르던 중 넘어져 병원으로 긴급히 이송됐으나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뇌사상태가 됐다. 이후 가족의 동의로 심장, 폐장, 간장, 신장, 안구(양측)를 기증했으며, 피부, 뼈, 연골, 혈관 등 조직도 함께 전했다.
반씨 자녀들은 삶의 끝에서 누군가에게 도움과 보탬이 될 수 있다면 하늘나라에서 아버지도 기뻐하실 것 같고, 이 순간에도 생명나눔을 간절히 기다리는 분들에게 희망이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기증을 결심했다고 한다.
강원 홍천에서 3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난 반씨는 젊어서 트럭 운전을 하다가 20년 넘게 목수 일을 했다. 몸을 쓰는 일이라 늘 온몸에 파스를 붙이고 다녔고, 아프고 힘들어하면서도 목수라는 일에 자긍심이 높았다고 한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지난해 12월 15일 가천대 길병원에서 반종학(57)씨가 뇌사 장기기증으로 6명의 생명을 살리고 인체 조직기증으로 100여명의 환자의 기능적 장애 회복에 희망을 선물했다고 7일 밝혔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반씨는 어깨가 안 좋아 최근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진단을 받고도 수술을 하면 일을 하지 못할 수 있다는 얘기에 수술을 포기했다. 아픈 어깨 때문에 넘어지는 순간 난간을 붙잡지 못한 것 같다며 가족들은 더 안타까워했다.
유족에 따르면 반씨는 누군가 어려운 사람을 보면 먼저 다가가는 정이 많은 사람이었다. 밝고 자상한 성격이었고 쉬는 날이면 낚시하러 다니거나 가족에게 요리해주는 것을 좋아하며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곤 했다.
반씨의 딸 반혜진씨는 “아빠, 지금 와서 생각하니 못 해주고 아쉬운 마음만 남아. 더 잘해줄 걸 하는 마음에 너무나 미안하고 아빠가 우리 아빠여서 지금까지 이렇게 잘 커서 잘살게 된 것 같아”며 “언제나 보고 싶고 아빠 사랑하고 하늘나라에서 건강해”라고 전했다.
이삼열 한국장기조직기증원장은 “생명나눔을 실천해 주신 기증자 반종학님과 유가족분들의 따뜻한 사랑의 마음에 감사드린다”며 “누군가의 생명을 살리는 기적과 같은 일이 우리 사회를 더 건강하고 밝게 밝히는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