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병상 가동률 83%… 병상 확보 비상

서울 병상 가동률 83%… 병상 확보 비상

박정훈 기자
입력 2020-12-08 21:06
수정 2020-12-09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중환자 수용 병상 7.8%인 43개뿐
경기 신규 확진자 80% 이상 자택 대기

이미지 확대
서울의료원 컨테이너식 이동 병상 설치
서울의료원 컨테이너식 이동 병상 설치 서울시가 8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본원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병상 부족을 막기 위해 컨테이너식 이동병상을 설치하고 있다. 시는 오는 15일까지 150개를 마련할 계획이다. 컨테이너 병상 1개당 입원 가능한 인원은 2~3명으로 생활치료센터 이상의 기능을 할 수 있게끔 음압 시설과 침대 등의 장비를 설치한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500~600명씩 쏟아지면서 병상 부족이 현실화하고 있다. 서울의 병원 주차장에 컨테이너식 이동 병상이 들어섰으며, 경기도는 하루 확진자의 80% 이상이 병원 배정을 받지 못해 대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과 경기도 등은 각급 대학병원 등에 병상 확보를 요청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전국의 중환자 병상과 코로나19 중환자 전담 병상 총 550대 가운데 당장 수용 가능한 병상은 7.8%인 43개로 집계됐다. 10개 병상 중 9개에 환자가 있는 셈이다.

특히 경기도는 전날인 7일 경기 지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중 88.5%인 139명이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를 배정받지 못해 자택에서 대기 중인 ‘격리 예정’ 상태에 있다고 이날 밝혔다. 8일 0시 기준 경기도에서 자택 대기 중인 확진자는 전날 366명보다 30명 증가한 396명으로 집계됐다. 또 중증 환자를 위한 병상 가동률도 90.9%로 높아졌다. 인공호흡기나 인공심폐장치, 고압산소요법 등이 필요한 중증환자 치료 병상은 49개 중 4개만 남았다.

하루 200명이 넘는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는 서울시도 비상이다. 서울시의 전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지난 7일 기준 82.6%다. 중증환자 전담치료 병상은 총 62개이고 현재 입원 가능한 병상은 6개다. 이에 따라 시는 서울의료원과 서북병원에 컨테이너식 이동 병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10일 서울의료원 본원에 48개 병상 설치를 시작으로 다음주에는 서울의료원 분원에 60개, 서북병원에 42개를 설치할 예정이다.

요양병원발 신규 확진자가 급증한 울산도 병상 부족이 우려된다. 울산시는 중증환자 발생을 대비해 감염병 전담 병원인 울산대병원 내 80개 병상 중 63개(78%)만 사용하고 있다. 일부 환자는 환자를 대구의료원과 경남생활치료센터에 이송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94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5일(583명) 이후 사흘 만에 600명 밑으로 떨어지긴 했다. 하지만 이는 감염병 등록 시스템 이관 과정에서 입력이 지연돼 검사 건수가 평일보다 절반가량밖에 안 돼 나타난 일시적인 ‘착시효과’다. 오히려 검사 건수 대비 확진자를 나타내는 양성률은 4.97%로 대구·경북 중심 1차 대유행 당시인 2월 23일(6.97%)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서울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12-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