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확진 50만명 육박… 역대 최다

하루 확진 50만명 육박… 역대 최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3-16 01:36
수정 2022-03-16 05: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0대 기저질환자 셀프치료 전환
위중증 1196명·사망 293명 최다

15일 오후 9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44만 1423명을 기록했다. 역대 일일 최다인 38만 3659명(12일 기준)을 뛰어넘었다. 자정 집계 기준으로 16일 발표될 일일 신규 확진자는 5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확진자 폭증에 따라 재택치료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집중관리군을 조정하기로 했다. 16일부터 확진된 50대 기저질환자는 집중관리군이 아닌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셀프치료’를 해야 한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50세 이상 치명률이 0%에 가깝다는 점, 먹는 치료제 처방이 동네 병·의원으로 확대된 점을 고려해 60세 이상과 면역저하자만 집중관리군에 포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집중관리군에 하루 2회 건강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의료기관을 현재 931개에서 1051개로 확대한다. 이러면 감당 가능한 집중관리군 환자가 28만명에서 32만 6000명으로 늘어난다. 14일 0시 기준 위중증은 1196명, 사망자는 293명으로 역시 최다 수치다. 현재 재택치료자는 총 161만명, 이 중 집중관리군은 24만 6000명이다.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폭우로 물에 잠긴 도시들과 바싹 메마른 땅으로 갈라졌다.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는 동안, 강원도 강릉 지역은 사상 최악의 가뭄에 직면한 것이다. 강릉의 최대 수원(水源)인 오봉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냈고, 위기 상황으로 여겨지는 저수율 15%선 붕괴를 코앞에 둔 상황이다. 이대로 비가 오지 않으면 20일 뒤 강릉시민들은 생활용수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한 방울의 물이라도 아끼기 위한 노력이 도시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평상시 수돗물이 공급되는 소화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소방서 앞마당에는 지름 6미터의 임시저수조가 설치됐다. 일선 병원들도 필수 의료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에 대한 절수 조치를 실시했다. 강릉아산병원 시설팀 관계자는 “환자의 치료 구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주방 설비의 급수량을 40% 줄이고 고가수조의 저수량을 7~10% 낮췄다”고 밝혔다. 새 학기가 시작된 강릉 지역 일선 학교들도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다. 정수기 사용을 막고 생수를 공급하는 한편, 급식 식판은 원주에 있는 세척 업체에 보내는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기도 했다. 사실상 재난 상황으로 치닫
thumbnail -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2022-03-1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