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 하나 정도의 탄산음료는 대화할 때 전달력을 높이지만 캔 두개 이상을 연속해 마시면 발음하는 데 좋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북도립대학 생체신호분석연구실의 조동욱(54ㆍ전자통신 전공) 교수는 20대 남성 10명에게 각각 탄산음료(180㎖) 3캔을 마시게 하고 1캔을 마실 때마다 성대의 진동과 파형을 IT기술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30일 밝혔다.
실험은 탄산음료 1캔을 쉬지 않고 마시게 한 뒤 곧바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청량음료 섭취 전 평균 0.44%이던 ‘지터(zitteㆍ성대 진동 변화율)’는 1캔을 마신 직후 0.40%로 낮아졌지만 2개째를 마신 뒤에는 0.48%, 3개째를 마신 뒤에는 0.63%로 높아졌다.
음성 파형의 규칙성을 보여주는 ‘쉼머(shimmer)’도 섭취 전 평균 0.60㏈에서 처음 한 캔을 마신 뒤 0.57㏈로 낮아졌다가 2개째 0.60㏈, 3개째 0.68㏈로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지터’와 ‘쉼머’는 수치가 작을수록 목소리가 안정되고 또렷하다.
같은 방식으로 천연오일인 유칼립투스 향과 헬륨가스에 대해 조사해보니 유칼립투스 향은 발음에 도움을 줬지만 헬륨가스는 악영향을 미쳤다고 조 교수는 설명했다.
조 교수는 “대화할 때 유칼립투스 향을 피우거나 탄산음료를 1캔 정도 마시면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면서 “과거 생수를 이용한 실험 결과 등을 토대로 추정할 때 10분 내지 20분은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한국통신학회 저널에 싣기 위해 심사를 요청했다.
연합뉴스


충북도립대학 생체신호분석연구실의 조동욱(54ㆍ전자통신 전공) 교수는 20대 남성 10명에게 각각 탄산음료(180㎖) 3캔을 마시게 하고 1캔을 마실 때마다 성대의 진동과 파형을 IT기술로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30일 밝혔다.
실험은 탄산음료 1캔을 쉬지 않고 마시게 한 뒤 곧바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청량음료 섭취 전 평균 0.44%이던 ‘지터(zitteㆍ성대 진동 변화율)’는 1캔을 마신 직후 0.40%로 낮아졌지만 2개째를 마신 뒤에는 0.48%, 3개째를 마신 뒤에는 0.63%로 높아졌다.
음성 파형의 규칙성을 보여주는 ‘쉼머(shimmer)’도 섭취 전 평균 0.60㏈에서 처음 한 캔을 마신 뒤 0.57㏈로 낮아졌다가 2개째 0.60㏈, 3개째 0.68㏈로 상승했다.
일반적으로 ‘지터’와 ‘쉼머’는 수치가 작을수록 목소리가 안정되고 또렷하다.
같은 방식으로 천연오일인 유칼립투스 향과 헬륨가스에 대해 조사해보니 유칼립투스 향은 발음에 도움을 줬지만 헬륨가스는 악영향을 미쳤다고 조 교수는 설명했다.
조 교수는 “대화할 때 유칼립투스 향을 피우거나 탄산음료를 1캔 정도 마시면 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면서 “과거 생수를 이용한 실험 결과 등을 토대로 추정할 때 10분 내지 20분은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한국통신학회 저널에 싣기 위해 심사를 요청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