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을 빛낸 스포츠 선수] K- 리그 신태용 성남 감독

[2010년을 빛낸 스포츠 선수] K- 리그 신태용 성남 감독

입력 2010-12-27 00:00
수정 2010-12-27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라운드 여우’ 형님 리더십으로 명장 등극

프로축구 K-리그 성남의 신태용(40) 감독은 젊다. K-리그 감독들 가운데 가장 어려서가 아니다. 선수들과 소통하는 방식이 그렇다. 지켜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뛰며 땀을 흘리는 훈련부터 경기 전 대기실에서 선수들과 주고받는 격의없는 대화까지. 이 때문에 성남의 젊은 선수들은 신 감독이 원하는 플레이를 하고, 겁없이 강팀과 맞붙을 수 있다. 성남 감독에 부임한 지 2년째. 신 감독은 이 같은 ‘형님 리더십’으로 팀을 아시아 정상에, 스스로를 ‘명장’의 반열에 올려놨다.

●K-리그의 패셔니스타

이미지 확대
신태용 성남 감독
신태용 성남 감독
신 감독은 패션 감각이 좋다. ‘베스트 드레서’ 제주 박경훈 감독도 “그래도 신 감독은 못 따라간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그가 K-리그의 패셔니스타인 것은 패션감각 때문만은 아니다.

신 감독은 K-리그에서 선수생활을 시작해 처음 감독이 된 ‘1세대 K-리거 감독’이다. 주눅들고 조심스러울 만했다. 하지만 감독들이 껄끄럽게 여겼던 심판판정 문제에 대해 가장 목소리를 높였고, 결국 지난해 K-리그 6강 플레이오프 인천과의 경기에서는 벤치에서 쫓겨나기도 했다. 물론 그는 이를 넘어서 ‘무전기 매직’을 연출했다.

또 신 감독은 24일 “밖에 나가면 ACL우승팀을 높게 쳐주는데, 한국에서만 그러지 않은 것 같다.”면서 “또 어떻게 리그 득점왕인 유병수(인천)가 K-리그 시즌 베스트 11에서 빠질 수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맞는 말이지만 누구도 쉽게 하지 못했던 이야기다. 신 감독은 그렇게 K-리그에 볼거리와 이야깃거리를 끊임없이 제공하고 있다. 신 감독으로 인해 K-리그는 한층 다채로운 무대가 됐다. 신 감독의 ‘튀는 행동’ 이후 다른 감독들도 숨겨뒀던 ‘끼’를 본격적으로 발산하기 시작했다. K-리그는 더 재밌어졌다.

●3년째가 더 기대되는 저평가 우량주

신 감독은 ‘저평가 우량주’다. 지난달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ACL) 결승전 직전 상대팀 조바한(이란)의 전술을 정확하게 예상했고, 비디오 분석을 통해 파악한 약점을 선수들과 공유한 뒤 집요하게 파고들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하지만 K-리그 준우승팀인 제주의 박 감독에게 밀려 감독상을 놓쳤다.

사실 신 감독은 선수시절에도 저평가를 받았다. 영리한 플레이로 ‘그라운드의 여우’라고 불리며 K-리그에서 유일하게 2번이나 시즌 MVP(1995년, 2001년)를 차지했지만 국가대표팀과는 인연이 없었다. A매치 21경기(3골) 출장이 전부다. 그래서 그는 “대표팀 감독을 멋지게 해 보고 싶다.”는 지도자로서의 포부를 숨기지 않는다.

신 감독은 클럽월드컵에서 인테르 밀란, 인테르나시오날에 연달아 패한 뒤 “많이 배웠다.”고 했다. 뭘 배웠을까. 그는 “선수 개개인의 실력차이가 크더라. 패스는 강했고, 움직임은 간결했다. 또 골문 앞에서는 강한 슈팅이 아니라 깔끔한 마무리를 짓는 것이 인상적이었다.”고 했다. 2년 차 신 감독은 열심히 배우고, 또 성장하고 있다.

신 감독은 2011년 시즌을 앞두고 생각이 많은 모습이었다. 구단의 지원이 계속 줄어 팀의 여러 간판 선수들을 겨울 이적시장에서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솔직히 어떻게 팀을 꾸려가야 할지 막막하다.”면서 “2011년에는 1~3년차 신인들이 주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답답한 상황 때문인지 지독한 몸살까지 앓고 있었다.

하지만 “어떻게든 되겠지.”라고 내뱉은 신 감독은 무언가를 골똘히 생각하고 있었다. 신 감독은 공·수의 핵 라돈치치와 전광진, 홍철을 빼고도 ACL 결승전을 이겨냈다. 성남의 2011년이 마냥 어둡지 않은 이유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0-12-2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