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 잠식’ 광주FC 사태 이후
李 지사 시절 체육진흥 대책 일환5억 지급… 5:5 매칭 방식 두배로
광역지자체 중 유일… 야구도 지원프로축구 K리그1 광주FC가 재정 건전화 규정 위반으로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징계를 받으면서 14개 시·도민구단의 열악한 재정 상황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의 시민구단 7곳은 도로부터 5억원씩 보조금을 받고 있어 눈길을 끈다. 다른 지방자치단체에는 없는 이 특이한 ‘가뭄의 단비’는 사실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이던 2021년부터 도내 시민구단에 체육진흥 차원에서 지급되어오던 것이다. 경기도는 올해도 시민구단 지원 예산을 모두 35억원 책정했다.
경기도 보조금은 5:5 매칭을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5억원을 지원받은 시에서도 같은 액수를 지원해야 한다. 결국 경기도의 시민구단들은 해마다 10억원씩 추가 재원이 생기는 셈이다.
특히 시에서 지원받는 규모가 열악한 K리그2 시민구단에게는 경기도의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 작지 않다. 지자체 지원 예산이 지난해 115억원에서 올해 60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성남FC의 경우 전체 지원금 가운데 16.6%나 된다. 지원 규모가 가장 적은 안산 그리너스(48억원)에선 이 비중이 20.8%로 5분의1을 넘어선다.
광역지자체가 관내 시민구단을 직접 지원하는 건 경기도가 유일하다. 대신 지원금 40% 이상은 반드시 유소년 축구 지원 등 미래 투자에 쓰도록 돼 있다. FC안양 관계자는 “올해 우리 팀이 유소년 육성에 12억원을 책정했다. 시민구단 입장에선 해마다 도에서 보조금을 받는 게 구단 운영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독립야구단에도 보조금을 주고 있다. 올해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지원액은 16억원이 배정됐다. 프로팀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들이 독립야구단을 통해 기량을 유지하고, 일부는 프로 입성의 결실을 맺고 있다. 한 야구 구단 관계자는 “최근 방송 등을 통해 독립 리그가 주목받으면서 독립야구단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갔다”며 “1군 부상자들을 포함한 프로팀 3군과 독립구단이 연습 경기를 갖는 등 교류도 늘려가는 추세”라고 말했다.
2025-06-2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