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편파판정에 중국 심판 있었다

쇼트트랙 편파판정에 중국 심판 있었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22-02-08 12:13
수정 2022-02-08 1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자부 2부심에 중국 양양
피터 워스, 평창서도 주심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심판진 명단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심판진 명단
노골적 한국 견제와 편파 판정으로 금메달을 중국에 선사한 쇼트트랙 심판진에 중국인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7일 베이징 수도체육관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경기의 심판진은 주심인 영국의 피터 워스 등 4명으로 구성됐다.

쇼트트랙의 심판진은 남자부와 여자부를 구분해 경기 전체를 주관하는 주심과 1·2부심, 비디오 심판까지 4인으로 구성된다. 이번 대회 남자부 경기의 심판진은 주심 워스와 1부심 잔 알랭(프랑스), 2부심 양양(중국), 비디오 심판 발락 알렉산드라(슬로바키아)로 짜여졌다. 여자부 심판진은 헝가리, 미국, 벨기에, 캐나다 출신 심판들로 채워졌다.

주·부심 3명은 링크 내에서 육안으로 레이스를 살핀다. 비디오 판독의 경우 비디오 심판을 포함해 4인이 헤드셋으로 합의해 진행한다.

준결승 1조에서 1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도 반칙을 이유로 탈락한 황대헌(강원도청)과 2조를 2위로 통과했지만 역시 같은 이유로 탈락한 이준서(한국체대)의 판정은 모두 비디오 판독을 거쳤다. 황대헌은 중국의 런쯔웨이와 리원룽을 추월하는 과정에서 레인 변경이 늦었다는 점, 이준서는 헝가리의 리우 샤오앙과 접촉 과정에서 레인 변경 반칙을 했다는 이유였다.

두 판정 모두 주심인 워스 심판이 비디오를 본 뒤 헤드셋으로 나머지 심판진과 논의한 뒤 내려졌다. 1위로 들어온 헝가리 사오린 산도르 류에 반칙을 선언하고 중국 선수들에게 금·은메달을 안긴 결승전 판정도 마찬가지였다. 논의 과정에서 개최국인 중국 심판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워스 심판은 2018 평창 대회 때도 남자부 주심이었다. 그는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대회의 ‘오노 사건’을 비롯해 노골적으로 한국 선수들에게 불리한 판정을 내렸던 호주의 제임스 휴이시 심판과 달리 대체로 공정한 판단을 내린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또 평창 대회에도 남자부 2부심이 이윤숙 전 빙상연맹 경기이사였지만, 이번처럼 개최국에 유리한 판정을 내린 적은 없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