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스켈레톤
엎드려 타는 종목…남녀 1인승만‘썰매+선수 체중’ 중량 엄격 제한
곡선 구간 땐 중력의 4~5배 압박
평창 총 16개 커브…9번 난코스
해발 929m서 출발·길이 1376m
순간 최대 시속 135㎞에 달해
스켈레톤은 영어로 뼈대, 해골이란 뜻인데 왜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썰매를 잡는 손잡이가 사람의 갈비뼈를 닮았기 때문이다. 이 썰매는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이 겨울에 짐을 운반하기 위해 쓰던 ‘터보건’(Toboggan·프랑스어로 썰매)에서 유래했다.
크게 몸체인 ‘보디’와 날인 ‘러너’로 구성된다. 보디는 길이 80∼120㎝이며, 폭엔 제한이 없다. 선수가 엎드리는 부분, 즉 판은 유리섬유로 제작된다. 골조를 이루는 강철의 강도에 따라 썰매 특성이 달라진다. 러너도 강철로 제작되며, 칼날 형태인 봅슬레이·루지와 달리 둥근 파이프(지름 1.65㎝) 형태다. 선수 얼굴부터 내려오는 종목 특성상 칼날 형태를 쓰면 부상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썰매는 무거울수록 가속도가 붙어 유리하기 때문에 중량을 엄격하게 제한한다. 스켈레톤도 남자의 경우 선수와 썰매 무게를 합쳐 총 115㎏을 넘을 수 없다. 단, 선수 몸무게가 82㎏ 이상이면 전체 중량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대신 썰매 무게는 33㎏ 이하여야 한다. 몸무게가 가벼운 선수라면 썰매 무게를 늘려 한도인 115㎏을 맞추려 하는데, 이 경우 썰매 무게는 43㎏ 이하로 제한된다.
여자도 마찬가지다. 선수와 썰매 무게를 합쳐 92㎏으로 한도를 뒀으나, 선수 몸무게가 63㎏ 이상이면 괜찮다. 단, 썰매 무게는 29㎏ 이하로 묶는다. 가벼운 선수라도 썰매 무게가 35㎏을 넘어선 안 된다.
스켈레톤은 봅슬레이와 같은 트랙을 쓴다. 경기가 열리는 평창 슬라이딩센터 트랙 길이는 1376.38m다. 캐나다 휘슬러(1450m)와 미국 레이크플래시드(1455m) 등 국제경기가 열리는 주요 트랙에 비해 짧다. 따라서 스타트 구간(45m)에서 얼마나 빨리 달리느냐가 중요하다.
평창 트랙 출발점 해발고도는 929m이고, 결승점은 이보다 117m 낮다. 평균 경사도는 9.48%다. 아파트 1개 층 높이가 3m인 걸 감안하면 40층 높이에서 내려오는 것이다. 순간 최대 시속은 135㎞다.
스켈레톤은 봅슬레이와 달리 브레이크나 조정장치가 없고 선수 어깨와 다리로 방향 조정을 한다. 커브 구간에서 속도를 손해 보지 않고 얼마나 빨리 통과하느냐가 승부를 결정한다. 선수는 커브를 통과할 때 4~5배의 중력을 견뎌야 한다.
평창에선 총 16개의 커브가 존재하는데, ‘악마의 코스’로 불리는 9번 커브가 가장 까다로운 구간으로 꼽힌다. 이곳의 회전 각도는 10도 안팎으로 비교적 완만해 썰매의 속도가 시속 100㎞ 안팎으로 떨어진다. 여기를 통과하기 위해 속도를 너무 줄이면 나머지 구간에서 가속을 내기 어렵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속도를 높이면 벽에 부딪히게 된다.
스켈레톤이 동계올림픽에서 첫선을 보인 건 1928년 생모리츠에서 열린 제2회 대회다. 이후 위험성 때문에 제외됐다가 1948년 생모리츠대회(5회) 때 복귀했다. 그러나 다시 제외되는 우여곡절을 겪은 뒤 54년 만인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대회(19회)부터는 정식종목으로 인정받고 있다.
스켈레톤은 이틀에 걸쳐 하루 두 차례씩 뛰어 기록을 합산해 순위를 결정한다. 평창에서 남자 경기는 2월 15~16일, 여자 경기는 2월 16~17일 진행된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8-01-19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