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엔 ‘너무 늦은 톱 뉴스’ (Headlines too late) 독일엔 ‘불명예 속 집으로’ (Home in disgrace)

한국엔 ‘너무 늦은 톱 뉴스’ (Headlines too late) 독일엔 ‘불명예 속 집으로’ (Home in disgrace)

최병규 기자
입력 2018-07-06 00:42
수정 2018-07-06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SPN 화제의 월드컵 세 단어 압축

한국의 러시아월드컵을 세 단어로 정리하면 ‘너무 늦은 톱 뉴스’(Headlines too late)였다.

미국 스포츠 전문 매체 ESPN이 제21회 월드컵 축구대회 본선에 출전한 32개국의 처지를 세 단어로 압축해 평가했다.

한국에 대해서는 ‘헤드라인을 장식할 만한 뉴스지만 너무 늦었다’는 의미로 표현했다. 한국에 패해 탈락한 독일에 대해서는 ‘불명예 속에 집으로 갔다’(Home in disgrace)고 정리했다.

또 16강전에서 콜롬비아를 따돌리고 ‘월드컵 승부차기의 저주’를 풀어낸 잉글랜드는 ‘회복한 종주국의 위상?’(Football coming home?)이라는 표현으로 조심스럽게 우승 가능성까지 암시했다.

잉글랜드는 스웨덴과 8강전을 치르고, 이기면 러시아-크로아티아 경기의 승자와 준결승을 치르는 등 비교적 수월한 대진운이 따른다는 평을 듣고 있다.

개최국 러시아는 ‘모든 예상을 뒤엎다’(Defying all prediction), 러시아와의 16강전에서 탈락한 스페인은 ‘한 방 없는 점유율’(Possession without punch) 등으로 묘사했다. 일본에 대해서는 ‘비통함의 표출’(Broken-hearted revelation)이라는 말로 다 잡았던 8강 티켓의 아쉬움을 표현했다.

16강에 오르지 못한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는 각각 ‘구원받지 못한 (무함마드) 살라흐’(Beyond Salah salvation), ‘역부족’(Out of depth) 등으로 정의됐다.

‘늪수비’로 스페인, 포르투갈전을 2실점으로 막은 이란은 ‘영웅적이고 반항적인 수비’(Heroic, defiant defense)로 명명됐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8-07-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