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첫해 코스피 40% 오른다”…증권가 ‘과장마케팅’

“정부첫해 코스피 40% 오른다”…증권가 ‘과장마케팅’

입력 2013-02-24 00:00
수정 2013-02-24 0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 정부 출범 1년차에 코스피가 평균 40% 이상 올랐다는 분석을 증권사들이 잇따라 내놓아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1997년 이후 한 차례도 ‘신정부 출범효과’가 뚜렷했던 적이 없었다면서 증권사들이 잘못된 통계로 투자자를 테마주로 유인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4일 현재까지 금융투자업계에서 내놓은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을 제외한 역대 새 정부 출범 1년차의 코스피 평균 상승률은 43.2%로 집계됐다.

2년차 지수 상승률은 평균 32.4%였고, 3∼5년차는 -2.5∼0.2%로 상승률이 저하됐다.

증권사들은 이런 수치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한 애널리스트는 지난달 말에 “과거에 새 정부 출범 첫해 주가가 전년 대비 평균 40% 이상 상승했다”면서 “올해도 정책효과로 강세장이 전망된다”는 보고서를 냈다. 최근에는 모 대형 증권사가 같은 내용을 도표까지 제시하며 분석했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1990년대 중반 이후로는 신정부 출범효과가 사실상 나타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노태우ㆍ김영삼 전 대통령의 새 정부 출범 1년차인 1988년과 1993년 지수 상승률은 72.8%와 27.7%에 달했던 반면 2∼4년차 평균 상승률은 각각 -6.2%와 -20.6%에 그쳐 ‘출범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김 전 대통령의 집권 1년차 지수상승률은 49.5%에 달했지만 이는 전년도 외환위기로 반토막 난 지수가 일부 회복된 것에 불과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기인 2003∼2007년에는 집권 1년차와 2∼4년차간 지수 상승률 격차가 4% 수준에 그쳤다. 현 정부 집권 1년차에는 세계 금융위기로 지수가 49.7%나 빠졌다.

전문가들은 주식시장 거래대금이 급감하는 등 증시침체가 지속되면서 증권사들의 실적이 최근 크게 악화된 점이 무리한 분석을 내놓은 배경이 됐다고 의심하고 있다.

금융소비자원 조남희 대표는 “주식 거래량을 늘리기 위해 새 정부 출범이란 이벤트를 부각시켜 관심을 유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너무 저차원적 시장 전략이고 결국 주식시장의 신뢰를 더욱 잃게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새 정부의 부양정책 여부와 무관하게 지수는 글로벌 경제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면서 “출범 효과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자칫 투자자를 ‘정치 테마주’로 인도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