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단녀 뽑는 이유 “책임감 강하다”… 채용 꺼리는 이유 “업무적응 걱정”

경단녀 뽑는 이유 “책임감 강하다”… 채용 꺼리는 이유 “업무적응 걱정”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5-07-06 00:10
수정 2015-07-06 0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업 임원 115명 설문조사… 68%가 “채용할 생각 있다”

기업체 임원에게 물었다. ‘경단녀’(경력단절여성)를 채용할 의사가 있느냐고. “그렇다”고 대답한 임원은 그 이유로 책임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채용하고 싶지 않다는 임원들은 경단녀의 ‘경력 단절’을 가장 꺼렸다. 단절된 경력을 잇기 위해 구직 전선에 나섰는데 그 경력 단절 때문에 다시 경단녀가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신문이 온라인 교육업체 휴넷과 함께 국내 기업체 임원(이사급 이상) 115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6월 4~11일)를 한 결과 67.8%(78명)가 경단녀를 채용할 생각이 있다고 답변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46명이 책임감을 꼽았다. 회사를 떠났다가 어려운 결단 끝에 복귀하려는 것인 만큼 일을 대하는 마음가짐부터 다르다는 설명이다. 경험에 따른 실력(24명)은 2순위였다.

채용 의사가 없다는 답변 가운데 가장 많은 이유는 “현업에서 오래 떠나 있어 업무 적응도가 떨어지기 때문”이었다.

워킹맘을 보는 시선에도 온도 차가 있었다. 임원 2명 가운데 1명은 “다른 직원과 다를 게 없다”(44.4%)고 답했지만 “회사 와서도 집안일을 신경 쓴다”고 불평하는 임원(29.6%)이 적지 않았다. 워킹맘이 늘면 “남녀 비율이 균형을 이뤄 분위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긍정론(33.1%)과 “험한 일을 시킬 수 없어 손해”라는 부정론(30.4%)이 맞섰다. 일반 직장인 2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36.5%(76명)가 여성 인력 활용 방안으로 “정부의 보육 지원”을 꼽았다. 워킹맘에 대한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라는 쓴소리(53명, 25.5%)도 잇따랐다.

김종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고용연구센터장은 “기업들이 현장실습교육(OJT)을 늘리고 경단녀에게 적극 개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7-0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