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젊은 조직’으로의 변신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 중심에는 ‘스타트업’(창업기업) 문화로의 변신을 선언한 삼성전자가 있다.
이미지 확대
경기 수원 디지털시티에 문을 연 삼성전자 센트럴파크 ‘C랩’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삼성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기 수원 디지털시티에 문을 연 삼성전자 센트럴파크 ‘C랩’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하고 있다.
삼성그룹 제공
삼성전자는 지난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의 정보기술(IT)기업과 같은 유연한 조직으로 탈바꿈한다는 ‘스타트업 삼성 컬처혁신’을 선언했다.
이와 함께 임직원의 창의성과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 문화 전반을 혁신하는 ‘3대 컬처혁신 전략’도 제시했다.
삼성전자가 제시하는 젊은 조직문화의 골자는 ‘자발적인 몰입’이다.
눈치를 보며 회사에 남아 잔업을 하는 분위기를 없애고 일과 휴식의 공존 속에 자율적으로 일을 하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월급 지급일인 매월 21일을 ‘패밀리데이’로 정해 야근과 회식 없이 정시 퇴근을 하고 있다.
가족사랑 휴가나 자기개발 휴가 같은 다양한 휴가제도를 도입하고 임직원 전용 여행상품 개발, 배우자 유산 휴가제도 등 직원들을 위한 복지제도를 신설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나 볼 수 있었던 사옥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일 경기 수원 디지털시티에 지상 1층과 지하 1층, 총 3만 7259평에 달하는 센트럴파크를 개관했다. 지상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상할 수 있는 공원, 지하 1층에는 피트니스센터와 동호회 시설 등이 마련됐다.
‘C랩’에서는 직원들이 자유로운 토론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05-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