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혀지지 않는 예대금리차…40개월 만에 최대 수준 유지

좁혀지지 않는 예대금리차…40개월 만에 최대 수준 유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5-29 13:34
수정 2018-05-29 1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계 주택담보대출 금리 오르고 예금 금리 떨어져

예금과 대출금리 차이가 40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유지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랐지만 예금 금리는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18년 4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예금은행의 잔액 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1.26%로 한 달 사이 0.02%포인트 올랐다.

총대출금리도 0.02%포인트 상승한 연 3.61%로 집계됐다.

대출에서 수신금리를 뺀 예대금리차는 2.35%포인트였다.

이는 2014년 11월(2.36%포인트) 이래 최대였던 3월(2.35%포인트)과 같은 수준이다.

예대금리차는 한은이 금리를 올린 작년 11월 2.27%포인트에서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연 3.65%로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떨어졌다.

가계대출은 전월과 같은 연 3.69%로 집계됐다.

그러나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02%포인트 오른 연 3.47%를 나타냈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등 주요 지표 금리가 상승한 여파다.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월 1.78%에서 지난달 1.80%로 올랐다.

집단대출은 0.11%포인트 하락한 연 3.43%였다. 은행들이 금리가 낮은 중도금 대출을 취급한 영향이다.

500만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는 0.03%포인트 상승한 연 4.74%였고 일반 신용대출금리는 0.01%포인트 오른 연 4.49%로 나타났다.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작년 4월(연 4.52%) 이후 가장 높았다.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23.2%로 전월과 같았다.

고정금리 비중 역시 2014년 1월(14.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다”며 “오래 쓸 자금이 아니라면 가계들이 낮은 금리인 변동금리를 택하려는 성향이 작용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0.02%포인트 하락한 연 3.64%였다.

대기업대출 금리가 0.01%포인트 오른 연 3.31%였고 중소기업 금리는 반대로 0.01%포인트 내린 연 3.85%로 나타났다.

예금은행의 신규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1.82%로 한 달 사이 0.03%포인트 하락했다.

그중에서도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0.01%포인트 하락한 연 1.79%를 기록했다.

한편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금리를 보면 상호저축은행(연 10.69%)은 0.28%포인트, 신용협동조합(연 4.83%)은 0.05%포인트, 새마을금고(연 4.16%)는 0.02%포인트 각각 올랐다. 상호금융(연 4.12%)만 0.02%포인트 하락했다.

예금 금리는 상호저축은행(연 2.51%)만 전월과 같았고 신용협동조합(연 2.42%), 상호금융(연 2.13%), 새마을금고(연 2.37%)는 각각 0.04%포인트, 0.08%포인트, 0.04%포인트 상승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