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빼고 다 오르네… 지난달 주담대 금리 2.81% ‘2년 2개월 내 최고’

월급빼고 다 오르네… 지난달 주담대 금리 2.81% ‘2년 2개월 내 최고’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1-08-27 13:42
수정 2021-08-27 13: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표금리 상승·우대금리 축소 맞물려
신용대출 금리도 3.89%로 0.14%p↑
기업대출 금리는 2.69%로 외려 하락
기준금리 인상으로 상승세 빨라질듯

코픽스, 은행채 등 지표금리 상승과 가계대출 억제를 위한 우대금리 축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약 2년 2개월만에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신용대출 금리와 전체 가계대출금리도 약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까지 0.25%포인트 인상한 만큼, 대출금리 상승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이 27일 발표한 ‘2021년 7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99%로 전월 2.92%보다 0.07%포인트 올랐다. 2019년 10월 3.01%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2.81%로 전월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2019년 5월 2.93% 다음으로 2년 2개월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신용대출 금리도 지난 6월 연 3.75%에서 지난달 연 3.89%로 0.14%포인트 올랐다. 2019년 11월 3.90% 이후 1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의 비중은 18.6%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늘었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코픽스, 은행채,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지표금리가 6월보다 0.03∼0.11%포인트 오른데다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은행들이 우대금리를 축소하고 가산금리를 높인 게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반면 기업대출 금리는 연 2.69%로 전월 대비 외려 0.03%포인트 떨어졌다. 대기업 대출 금리가 2.53%에서 2.45%로 0.08%포인트 하락했고,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2.85%를 유지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 평균은 6월(2.77%)보다 0.01%포인트 높은 2.78%로 집계됐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 평균도 연 0.94%에서 연 0.97%로 0.0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5월 1.07% 이후 1년 2개월 내 최고 수준이다.

이에 따라 예대마진(예금은행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은 1.81%포인트로 지난 6월 1.83%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