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그레는 3월부터 투게더, 메로나 등 자사 아이스크림 제품의 가격을 차례대로 올린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투게더의 소매점 판매 가격은 5500원에서 6000원으로, 메로나는 800원에서 1000원으로 오를 예정이다. 비비빅, 엑설런트 등 다른 아이스크림 제품의 가격도 인상된다.
빙그레 관계자는 “최근 국내 원유가격과 함께 국제 석유화학, 종이 펄프 등의 부자재 원료값이 올라 거의 모든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했다”면서 “여기에 인건비,물류비,판매관리비 등도 오르는 상황”이라고 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하겐다즈도 다음 달 1일부터 파인트와 미니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 하겐다즈 파인트11종은 1만 2900원에서 1만 3900원으로 7.7% 오른다. 미니는 4800원에서 5200원으로 8% 오른다. 하겐다즈의 가격 인상은 2020년 1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당시 하겐다즈는 파인트와 미니 가격을 14%가량 올린 바 있다.
롯데제과도 다음 달부터 가격 정찰제와 할인 폭 조정으로 가격 정비에 나선다. 롯데제과는 월드콘의 권장소비자가격을 기존 1500원에서 1000원으로 인하하고 오는 3월에는 설레임의 권장소비자 가격을 1500원에서 1000원으로 조정한다. 유통업체별로 아이스크림이 반값에 팔리는 등 수익성이 악화하자 가격정찰제를 도입하고 할인율을 없애 제값을 받기 위한 취지다.
해태아이스크림도 대표 제품인 ‘브라보콘’ 등의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명희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