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성남의 상상인저축은행 본점. 연합뉴스
우리금융이 상상인그룹의 두 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인수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19일 업계에서는 ‘예정된 수순’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시장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인수할 만한 곳이 우리금융뿐이라는 것이다.
“두 저축은행 감당할 만한 회사는 우리금융지주뿐”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매각 명령이 떨어졌을 때 일각에서 OK금융 또는 웰컴금융이 두 저축은행 인수하는 것 아니냐는 설이 돌았지만, 현실성이 떨어지는 소리”라면서 “지금처럼 저축은행 업황이 안 좋은 상황에서 OK, 웰컴은 이 두 저축은행 감당할 수 없다. 대형 금융지주가 나서줘야 하는데 그중에 나설 곳은 처음부터 우리은행이었다”고 설명했다.
우리금융이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인수에 나설 이유는 충분하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우리금융이 이들 두 저축은행을 인수할 경우 우리금융은 계열사로 둔 우리금융저축은행과의 합병을 통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자산규모 1조 6104억원으로 자산순위 30위에 그치는 중소 저축은행이다.
그러나 두 저축은행을 인수하면 단숨에 업계 4위로 덩치를 불릴 수 있다.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의 총자산은 6월 말 기준 각각 3조 2991억원, 1조 5806억원이다. 우리금융저축은행과 상상인 계열 두 저축은행을 합병하면 자산규모는 총 6조 4901억원으로 불어난다. 그러면 우리금융저축은행은 SBI저축은행(15조 5743억원), OK저축은행(14조 5768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8조 6111억원)를 잇는 대형 저축은행이 된다. 신한저축은행(3조 892억원), 하나저축은행(2조 8182억원), NH저축은행(2조 3814억원) 등 경쟁 지주사의 저축은행도 뛰어넘게 된다.
우리금융, 실사 자문사 선임 착수 등 인수 본격화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주요 대형 회계법인 등을 대상으로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인수를 위한 실사를 맡을 자문사 선임 절차를 진행하는 등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인수를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이르면 이번 주 인수 자문사 선임을 마칠 것으로 관측된다.
우리금융은 금융위원회의 매각 명령에 따라 상상인 계열의 두 저축은행이 시장에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커지자 본격적인 검토에 돌입했다. 금융위는 지난 4일 상상인에게 내년 4월 초까지 상상인저축은행 지분 90%와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지분 90%를 매각하라고 명령했다.
이번 매각 명령은 이들 두 저축은행이 금융위의 대주주 적격성 충족 명령에 따르지 않아 내려진 조치다. 금융위는 8월 말 두 저축은행에 2주 내로 대주주 적격성 문제를 해결하라고 명령한 바 있다.
두 저축은행의 대주주 적격성 문제는 2019년 처음 불거졌다. 2019년 12월 당시 금융위는 불법 대출, 허위보고 등의 혐의로 유 대표에게 직무정지 3개월 중징계를 내렸다. 저축은행법 시행령, 금융회사지배구조법 시행령 등에 따르면 직무정지를 받으면 향후 4년간 금융사 임직원과 대주주가 될 수 없다. 유 대표는 이에 불복해 행정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지난 5월 대법원이 금융위의 손을 들어줬다.
상상인 행정소송으로 시간 벌기 가능성우리금융의 상상인 계열 두 저축은행 인수까지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상상인이 그룹의 캐시카우인 저축은행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 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상상인이 매각 명령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및 행정소송을 제기할 경우 승소 여부를 떠나 상상인은 대법원판결까지 2년~3년의 시간을 벌 수 있다. 그동안 우호 지분 확보 등 다양한 노력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상상인 측은 “아직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