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출산율 0.7명 또 ‘역대 최저’…연말 0.6명대 ‘빨간불’

3분기 출산율 0.7명 또 ‘역대 최저’…연말 0.6명대 ‘빨간불’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1-29 13:59
수정 2023-11-29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9월 인구동향…47개월째 인구 자연감소

이미지 확대
3일 경기 수원시 한 여성병원 신생아실의 요람이 비어 있다. 2023.3.3 홍윤기 기자
3일 경기 수원시 한 여성병원 신생아실의 요람이 비어 있다. 2023.3.3 홍윤기 기자
올해 3분기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분기(0.7명)에 이어 2분기 연속 0.7명대를 겨우 턱걸이한 것으로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가 줄어드는 흐름을 고려하면 4분기에는 0.6명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9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3분기에 태어난 아이는 5만 6794명으로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였다. 9월 한 달 동안 태어난 아이도 1만 8707명으로 역대 9월 기준 최저치다. 9월을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2만명을 밑돈 것은 1981년 인구 통계 작성 이래 최초다.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0명으로 1년 전보다 0.10명 줄었다.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전 분기 통틀어 최저치였던 지난해 4분기·올해 2분기와 같은 출산율이자, 3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낮은 수치다.

통상 출생아 숫자는 연초에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드는 ‘상고하저’ 추세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면, 4분기에는 0.6명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앞서 통계청은 올해 태어날 전체 신생아 수는 23만명대, 합계출산율은 0.72명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기존 전망 자체로도 지난해 합계출산율 ‘0.78명 쇼크’를 넘어서는 수치다.

이미지 확대
자료 연합뉴스
자료 연합뉴스
반면 고령화로 사망자가 늘면서 9월 인구는 9657명 자연 감소했다.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7개월째 자연 감소를 기록 중이다.

혼인 건수도 줄면서 출산율 반등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9월 혼인 건수는 1만 2941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1만 4784건)보다 12.3%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로 지연됐던 혼인이 올 상반기까지 해소된 뒤, 비혼 유행 등으로 혼인 건수도 다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