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9% 올라 5개월 만에 1%대
채솟값 안정·국제유가 하락이 원인
축산물 6.2%↑… 35개월 만에 최대
외식 개인서비스 3.2% 상승 ‘불안’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1.9% 오르면서 5개월 만에 1%대로 내려왔다. 고공 행진을 이어가던 채솟값이 안정되고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가격도 내린 결과다. 하지만 돼지고기, 계란값의 가파른 상승세로 축산물 물가가 35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뛰는 등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불안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7(2020년=100)로 1년 전보다 1.9% 올랐다. 1%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이후 다섯 달 만이다. 지난 넉 달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에서 오르내렸다.
안정된 농산물 가격 덕분에 물가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농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7% 내리면서 전체 물가를 0.2% 포인트 떨어트렸다. 채소 가격이 5.4% 하락했고, 사과(-11.6%)와 참외(-27.3%), 파(-33.4%), 토마토(-20.6%), 배추(-15.7%) 등이 크게 내렸다. 석유류도 2.3% 내리면서 전체 물가를 0.09% 포인트 끌어내렸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최근 기상 호조로 채소류 산지 출하량이 늘어났다”면서 “유류세 인하율이 축소됐지만 국제 유가가 1년 전에 비해 24.2% 하락하면서 석유류 물가가 내렸다”고 설명했다.
반면 먹거리 물가는 들썩거렸다. 특히 축산물이 6.2% 뛰면서 2022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라 전체 물가를 0.15% 포인트 끌어올렸다. 돼지고기(8.4%)와 국산쇠고기(5.3%), 수입쇠고기(5.4%), 계란(3.8%)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수산물도 6.0% 올랐다. 이두원 심의관은 “돼지고기 수입 가격이 오르고 소고기 도축 마릿수가 감소한 가운데 대체재인 닭고기 가격까지 올랐다”며 “계란 가격은 지난 4월에 8개월 만에 상승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상승했다”고 했다.
서비스 물가 가운데 외식 개인서비스는 3.2% 올랐다. 가공식품도 4.1% 뛰어 전체 물가를 0.35% 포인트 끌어올렸다. 다만 밥상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 지수는 1년 전보다 5.0% 하락했다. 2021년 10월(-7.8%) 이후 4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이다.
임혜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업계의 원가 부담을 덜기 위해 식품 원재료 할당관세 적용, 수입 부가가치세 면제 등 세제·금융 지원을 하고 있다”며 “식품업체와 협의하면서 원가 상승 요인이 있더라도 품목과 인상률을 최소화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06-0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