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3 건설사 분양전쟁’위례·김포풍무’ 열기 후끈

빅3 건설사 분양전쟁’위례·김포풍무’ 열기 후끈

입력 2013-06-20 00:00
수정 2013-06-20 07: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건설·삼성물산 위례신도시, 대우건설 김포풍무…21일 동시 오픈

올 여름 아파트 분양시장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건설업계 ‘빅3’ 대형건설사들이 같은 날 위례신도시와 김포풍무지구에서 새 아파트를 선보이며 분양전쟁에 나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순위 1위 현대건설과 2위 삼성물산이 수도권 유일 강남권 신도시 위례신도시에서 맞붙는다. 벌써부터 두 건설사의 신경전이 날까롭다.

위례신도시는 강남권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조성되는 곳으로 서울 송파구 장지·거여동 일대와 경기 성남·하남시 등 행정구역상 3개구역에 걸쳐 있다. 인근 강남세곡지구, 거여마천뉴타운, 하남미사지구, 감일지구 등 대규모 택지지구와 주거단지를 형성하고 있고 문정법조, 동남권유통단지, KTX 수서역, 제 2롯데월드 등 호재들도 많아 수요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은 21일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전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A2-12블록에 ‘위례신도시 힐스테이트’ 621가구를, 삼성물산은 A2-5블록에 ‘래미안’ 410가구를 각각 분양한다.

위례 힐스테이트는 지하 2층, 지상 11∼14층 14개동 총 621가구 규모이다. 전용면적 99㎡ 191가구와 110㎡ 430가구로 모두 중대형이다. 신설 예정인 지하철 8호선 우남역 인근에 위치해 역세권이라는 입지적 강점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 래미안 위례신도시는 지하 1층∼지상 23층 6개동, 전용면적 99∼134㎡ 중대형 410가구로 이뤄진다. 입지면에선 열위이지만 브랜드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데 승부수를 두고 마케팅에 나섰다.

두 단지 모두 행정구역상 성남시에 위치해 있으며 중대형이라는 게 공통점이다. 입주 예정도 2015년 11월로 같다.

모두 분양가가 6억원을 웃돌아 4·1 부동산 대책 양도세 감면 대상에선 제외된다. 그러나 4·1 대책으로 바뀐 중대형 청약가점제 폐지 적용 대상 단지여서 유주택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3.3㎡당 평균분양가는 위례 힐스테이트가 1천720만원대, 래미안 위례신도시는 1천710만원대로 각각 책정됐다.

업계에선 인근 판교신도시에서 분양한 ‘판교 알파리움’이 평균 25.8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두 단지도 상당한 인기를 끌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

부동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청약을 하겠다고 나선 대기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며 “경쟁률은 수십대 1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건설사는 25∼27일 청약해 다음달 9∼11일 계약할 예정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 3위인 대우건설도 21일 동부건설과 함께 경기도 김포시에서 새 아파트를 선보인다. 김포풍무는 위례신도시보다 관심을 덜 받는 곳이어서 계약 성과에 대한 기대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지만 여름철 분양 열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포풍무 푸르지오 센트레빌’은 지하 2층, 지상 35층, 45개동의 총 5천여가구 대단지로 구성된다. 이 중 1차로 23개동의 전용 59∼111㎡ 규모 총 2천712가구가 공급된다.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전체의 90%로 4·1 대책 대상에 포함된다. 여기에 특화된 보육시설을 갖춰 젊은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클 것으로 관측된다. 3.3㎡당 평균 분양가도 950만원선으로 분양가 심의 때 책정된 1천20만원보다 70만원 저렴한 수준에서 책정된다. 입주는 2016년 6월 예정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과거와는 달리 올해는 분양시장이 매매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4·1대책 등으로 청약가점제가 폐지 또는 완화돼 연말까지 분양시장에는 큰 장이 들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