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착식 보조파일을 활용한 PHC파일 공삭공 시공방법. 현대엔지니어링 제공
현대엔지니어링과 성심씨앤엠, 에스에이씨피건설 등이 공동 개발한 ‘탈착식 보조 파일을 활용한 PHC파일 공삭공 시공방법’(공삭공 공법)이 국토교통부 건설신기술 제1022호로 지정됐다.
22일 현대엔지니어링에 따르면 공삭공 공법은 건축물 기초 구조물을 지지할 말뚝을 건축물의 최하단부까지 굴착해 시공하지 않고, 지표면에서 바로 땅속으로 박아 넣는 방식이다. 공간이 협소한 도심지나 굴착이 어려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공삭공 공법은 말뚝과 분리형 보조 파일을 별도로 시공해야 했지만, 이번 시공법은 말뚝과 보조 파일을 일체형 구조로 결합해 시공하도록 했다. 말뚝 상단에 고리가 달린 마감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레버 장치를 포함한 보조 파일을 견고하게 연결해 한 번에 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항타기를 활용해 말뚝을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파손 위험이 줄었고, 타격 에너지도 효율적으로 전달돼 시공 횟수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시공 완료 후에는 레버를 돌려 보조 파일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말뚝 상단 마감판은 시멘트 밀크의 말뚝 내부 유입을 방지해 지지력 저하나 말뚝이 떠오르는 현상을 예방한다.
국토교통부 건설신기술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했거나 외국에서 도입해 개량한 건설기술 중 신규성·진보성·현장적용성을 국토부가 인정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