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설계약 300조원대 회복…수도권 17.7%↑, 비수도권 7.4%↓

지난해 건설계약 300조원대 회복…수도권 17.7%↑, 비수도권 7.4%↓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5-08-22 13:29
수정 2025-08-22 1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4년 건설업 조사 결과 중 공사실적 부문. 자료 통계청
2024년 건설업 조사 결과 중 공사실적 부문. 자료 통계청


지난해 건설계약액이 300조원대를 회복했다. 건설공사액은 건설업 불황 탓에 4년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24년 건설업 조사 결과(잠정) 공사실적 부문’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기업체 수는 8만 9094개로 전년 대비 1.4%(1203개) 증가했다. 수도권이 3만 1320개였고, 비수도권이 5만 7774개로 각각 0.9%, 1.7% 증가했다.

건설계약액은 307조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2023년에는 계약액이 전년 대비 12.1% 감소하며 298조원으로 떨어졌지만 1년 만에 다시 300조원대로 돌아섰다. 그러나 2021년(315조), 2022년(338조)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국내 계약액은 267조원으로 전년 대비 3.4% 늘었고, 해외 계약액은 41조원으로 2.9%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수도권이 131조원으로 17.7% 증가했지만, 비수도권 지역은 136조원으로 7.4% 감소해 쏠림 현상이 뚜렷했다.

국내 공사 종류별로는 건축(9.5%), 토목(130%)이 증가했고, 산업설비(-35.1%), 조경(-15.5%)은 감소했다. 건축 부문에서는 아파트, 공장, 창고 등이 토목 부문에서는 택지조성, 도로터널 등 계약이 늘었다.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 계약액이 87조원으로 8.0% 증가했고, 민간 부문도 179조원으로 1.4% 증가했다.

같은 기간 건설공사액은 364조원으로 전년보다 1.4% 늘었다. 2021년(6.5%), 2022년(11.5%), 2023년(4.7%)에 이어 4년 연속 증가세다. 그러나 2020년 1.7% 감소한 뒤로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국내 공사액은 316조원으로 0.8% 감소했다. 2023년 건설 계약이 감소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수도권(151조원)에서 2.7% 감소한 영향이 컸다. 수도권 이외 지역(165조원)은 1.0% 증가했다.

반면 해외 공사액은 48조원으로 18.3% 늘었다. 미국(40.3%), 중동(31.9%) 지역 공사가 크게 늘었다. 발주자별로는 공공부문 공사액이 90조원으로 7.2% 증가, 민간 부문은 226조원으로 3.6% 감소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