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는 비대면 아담대를 출시한 지 1년여 만에 누적 취급액이 1조원을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비교적 낮은 대출 금리와 간단한 비대면 절차가 편의성을 높여 인기를 끌었다는 자체 평가다.
케이뱅크의 아담대는 아파트 보유 및 거주 중인 직장인,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신규(생활안정) 1억원, 대환 10억원까지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취급 기준 케이뱅크의 아담대 평균 금리는 연 2.98%다. KB국민·우리·하나·신한은행의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61%~3.82%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꽤 낮은 금리에 대출을 받을 수 있었던 셈이다.
점포가 없는 인터넷전문은행의 특성을 살려 비대면 편의성도 강화했다. 기존에 담보대출을 갈아타려면 주민센터에 방문해 인감 증명서를 발급받고 인감이 날인된 위임장과 함께 법무 대리인에게 전달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했다. 케이뱅크는 전자상환위임장을 개발해 전자서명으로 위임 절차가 끝날 수 있도록 했다. 초기 대출 신청 후 승인까지 걸리는 기간도 자동화 개선을 통해 6일에서 2일로 줄였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대출 실행금액별 비중을 반영한 가중평균금리로 계산하면 기존 담보대출에서 케이뱅크 아담대로 갈아탄 고객의 1인 평균 이자 절감 비용은 연간 약 140만원으로 분석됐다”며 “앞으로도 디지털을 기반으로 금융은 물론 타 영역까지 아우르는 혁신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인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