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8차 독자권익위원회
자극적·편향적이지 않고 중립적·균형적섹션면 기사 눈에 띄나 주말판 아쉬움도


28일 서울 광화문 서울신문 사옥에서 열린 제108차 독자권익위원회에서 지난 한 달 동안 서울신문 보도를 놓고 독자권익위원들과 서울신문 관계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김광태(온전한 커뮤니케이션 회장) 위원장과 김만흠(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 나해철(시인), 손정혜(법무법인 혜명 변호사), 심훈(한림대 언론학과 교수), 정성장(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홍영만(서울여대 초빙교수) 위원이 참석했다. 아래는 위원들의 의견이다.
※경제 이슈를 잘 정리한 기사가 돋보였다. 7월 16일자 20면에 나온 금융감독원과 생명보험사들의 즉시연금 미지급금 논쟁을 다룬 팩트체크 기사는 다른 신문과 비교해 이해가 쉽고, 이슈를 명확하게 짚어 줘 만족스러웠다. 지난 20일자 15면에 실린 기사는 국민연금 개혁안 3대 쟁점을 한 면에서 그래프와 함께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줬다.
※경제 이슈에서 나오는 숫자의 의미와 맥락을 더 짚어 줄 필요가 있다. 정부 보도자료를 전달하거나 여당과 야당의 입장을 싣는 기사를 읽어도 충분히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있다. 빌 클린턴 대통령 당선 이후 경제 대토론을 모방한 전문가와 핵심 관료 인터뷰도 제안한다.
※주 52시간 근무 체제로 바뀌고 토요판을 없애는 대신 마주보기, 사사건건, 색다른 인터뷰, 특파원 생생리포트 등 차별성을 살린 콘텐츠로 재미와 흥미를 잡았다. 포토 다큐를 주 1회로 늘려 글을 읽는 피곤함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었다. 주말엔 등을 부활시키는 문제를 검토하기를 바란다.
※모든 분야에서 자극적인 기사 대신 편향적이지 않고 중립적이고 균형적으로 이슈를 짚는 것이 강점이다. 더 깊이 있는 분석이 수반된다면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북한·통일 분야나 의학이나 문화 분야에서는 전문기자를 키우면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다.
※북한과 통일 분야는 주변국 상황을 소개하면서 그들의 한계를 지적하는 동시에 중간자로 조율해야 하는 정부에 구체적인 입장을 요구하는 것이 언론의 역할이다. 그 과정에서 정부도 더 좋은 대안을 만들어 낼 것이다.
※눈에 띄는 사설과 칼럼이 많았다. 보수 언론의 정부 비판 보도에 대해서 팩트로 일침을 가한 사설이나 28일자에 실린 ‘우리는 왜 새우등을 자처하는가’ 오피니언도 좋았다.
※사법 농단과 관련해 ‘어떻게 사법이 그래요’나 폭염은 온실가스가 문제라는 9개국 연구결과 등 이슈에 발맞춘 기획들도 눈에 띄었다.
※팩트와 주장을 구별할 수 있도록 편집에 보다 신경 쓰면 좋겠다. 연구원 한 명의 연구는 팩트가 아니니 오피니언면이 더 적절할 수도 있다. 전문가 칼럼도 한 사람이 모든 분야를 다루면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탈원전 등 입장이 갈리는 사안은 제3자인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담아 설득력을 높였으면 한다.
※잠재적인 독자를 어떻게 사로잡을지 고민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10대의 시각으로 신문을 보면 덩어리가 큰 글이 많다. 바쁜 시대를 사는 독자를 위한 선택과 집중도 필요하다. 사진을 감각적으로 배치하고, 다큐멘터리식으로 자치단체 주민들의 정책에 대한 시각을 다뤄 주면 좋겠다. 신문이 중년 여성의 모습은 찾기 힘들고 젊은 여성의 사진을 써 왔는데 이는 10년 전과 달리 불편한 관행이 됐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08-29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