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이재명 대통령이 어제 부산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지난달 도쿄 정상회담에서 ‘셔틀외교 복원’ 메시지를 주고받은 데 이어 한 달 만에 다시 만나 소통과 협력의 의지를 재확인했다.
회담에서 두 정상은 ‘한일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의 구체적 운용 방안을 마련하고 공동발표문을 냈다. 저출산·고령화, 국토균형성장, 농업, 방재, 자살대책 등 양국이 공통으로 겪는 고질적 사회 문제에 대해 각 부처가 경험과 정책 성과를 공유하면서 해결책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양국 외교당국이 협의체 전반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한 것도 의미 있는 첫걸음이다.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 협력 장치가 마련된 만큼 합의가 선언에 머물지 않고 실제 정책 개선과 민생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번 회담의 의제는 과거 한일 정상회담보다 훨씬 폭넓었다. 지방 소멸과 저출생·고령화 대응, 인공지능(AI)과 수소에너지 등 미래 산업 협력뿐 아니라 동북아 안보 정세에 대한 공통의 우려와 대응 방안도 논의됐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 중국의 영향력 확대 등 북중러 연대 강화는 한국과 일본 모두에 직접적 도전이다. 한미일 3각 공조를 토대로 한국과 일본이 직접 대화하며 현안을 풀어 가는 작업이 절실해졌다.
이 대통령이 “셔틀외교를 정착시켜 한일 공동 발전으로 이어가자”고 한 만큼 양국 신뢰 구축과 현안 해결의 동력이 돼야 한다. 과거처럼 갈등이 불거질 때마다 교류가 끊겨서는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 글로벌 정세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양국의 공동 대응 없이는 국제 경쟁을 뚫기 어렵다.
이시바 총리는 곧 퇴임을 앞두고 있다. 누가 차기 일본 총리가 되더라도 양국 정상은 수시로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 그래야 이번 정상회담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미래 산업과 민생 협력,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를 강화하는 전환점으로 기록될 수 있다.
2025-10-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