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양고기로 만든 기사도. 국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요리는 스튜잉, 국물을 졸여 진득하게 만들어 소스처럼 이용하는 경우엔 브레이징으로 구분한다.
                        긴 기다림 끝에 맛본 피타 핀타 기사도는 영락없는 한국의 갈비찜 맛이었다. 소고기 대신 닭고기로 만들었다는 것 말고는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한국의 갈비찜에 들어가는 양념의 주재료인 다량의 설탕과 간장 없이도 진하고 깊은 맛을 낼 수 있다는 게 놀라웠다. 요리에 설탕을 넣는 것이 죄는 아니지만 식재료만으로도 얼마든지 자연스러운 단맛을 낼 수 있다. 우리가 날마다 접하는 양파는 요리에 단맛을 주는 가장 손쉽고 흔한 재료지만 단맛을 우려내 재료와 함께 어우러지게 하려면 필요한 게 있다. 바로 시간이라는 주방의 보이지 않는 손이다.
 
                            ‘피타 핀타’로 만든 스페인식 스튜. 국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요리는 스튜잉, 국물을 졸여 진득하게 만들어 소스처럼 이용하는 경우엔 브레이징으로 구분한다.
                        기사도는 스튜잉보다는 브레이징에 가까운 요리법이다. 브레이징은 스튜잉보다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빠르게 구워 먹기엔 질긴 고기 부위를 덩어리째 넣고 시간을 들여 천천히 익히게 되면 열에 의해 단백질과 젤라틴 결합조직이 끊어지면서 부드러워진다. 여기에 첨가된 각종 야채들도 같은 조건에서 졸여지면서 캐러멜라이징화가 진행돼 원재료에서 맛볼 수 없었던 진하고 깊은 풍미가 만들어지는데 여기에 브레이징 요리의 묘미가 있다. 일부러 진한 소스를 만들거나 찾지 않아도 재료를 익히고 남은 수분과 채소 건더기를 가지고 훨씬 더 재료와 어우러지는 자연스러운 풍미를 가진 소스를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스페인 토종닭 ‘피타 핀타’로 만든 기사도. 한국의 갈비찜이나 찜닭 같은 요리다.
                        브레이징 요리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요리는 혼자를 위한 요리는 아니다. 들어가는 재료가 많을수록 맛은 더 풍부해지기에 연말처럼 특별한 날 여러 가족이 모인 식사 자리에서 함께 나눌 수 있는 가족 요리를 상징한다. 식사 3~4시간 전 맨 먼저 준비해 놓은 다음 오븐이나 불에 올려 천천히 익는 동안 다른 요리를 할 수 있으니 오히려 간편하다. 연말에 어울리는 특별한 요리법을 찾고 있다면 브레이징 요리를 강력히 추천하는 바이다.
2023-12-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