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기축통화> 日언론 엔화보다 높은 비율 견제…”개혁이 관건”

<위안화 기축통화> 日언론 엔화보다 높은 비율 견제…”개혁이 관건”

입력 2015-12-01 11:34
수정 2015-12-01 1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DR편입 자체로 사용 편리해지는 것 아니다”

일본 언론은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기반통화(바스켓)에 편입된 것이 국제 금융업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키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위안화가 시장에서 주요 통화로서 확실한 지위를 굳히려면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혁이 필요하며 SDR 편입이 현재로서는 상징적인 측면이 크다고 봤다.

교도통신은 위안화의 편입 비율이 10.92%로 일본 엔화(8.33%)보다 높은 점에 주목하고서 이번 결정이 위안화의 유통이 확대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국제 금융 분야에서 중국의 한층 영향력을 키울 것이 확실하다고 1일 평가했다.

통신은 위안화가 실제로 사용하기 편한 화폐가 되려면 중국이 자본 거래를 한층 자유롭게 하고 환율 변동을 더 유연하게 하는 등 제도 수정이 필요하며 경기 감속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중국 당국이 이런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은 이와 관련해 중국 당국이 국경을 넘나드는 거액의 자금 이동을 제어할 수 없게 될 것을 우려해 위안화의 외화 상장이나 자본 거래를 엄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한계를 지적했다.

이 신문은 중국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위안화의 SDR 편입을 계기로 외환제도나 금융자본 시장의 자유화를 향한 개혁에 속도를 낼 것이지만 아직은 이에 익숙하지 않은 단계라고 평가하고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