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보더니 서빙 거부”…30대男 고통에 빠뜨린 ‘이 병’ 정체

“얼굴 보더니 서빙 거부”…30대男 고통에 빠뜨린 ‘이 병’ 정체

하승연 기자
입력 2025-05-19 14:55
수정 2025-05-19 15: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영국에서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해왔지만 온라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인스타그램 캡처
영국에서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해왔지만 온라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인스타그램 캡처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영국의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당해온 괴롭힘을 딛고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사람들에게 희망을 전달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18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 등에 따르면 영국 버밍엄 출신 아밋 고스(35)는 신경섬유종증 1형을 앓고 태어나 살면서 받은 괴롭힘에 대해 털어놨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신경섬유종증은 인체의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 가장 흔한 단일 유전자 질환 중의 하나다. 2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 중에서 가장 흔한 제1형(NF1)을 레클링하우젠병(Recklinghausen)이라고 한다.

발생 빈도는 3500명당 1명꼴이다. 전체 환자의 67% 정도가 생후 1세 이전에 발견되며, 25~90%는 특징적인 피부 병변인 커피색 반점을 동반하고 최고 16%는 이것이 악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밋은 최근 런던의 한 개인 커피숍을 방문했을 때를 회상하며 “모두가 나를 쳐다봤다. 마치 유령을 본 듯한 표정이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서빙하던 직원이 나를 보고 ‘우리는 더 이상 서빙하지 않겠다’고 말한 뒤 돌아갔다”면서 “이후 그 직원은 나를 제외한 다른 고객들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영국에서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해왔지만 온라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인스타그램 캡처
영국에서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해왔지만 온라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인스타그램 캡처


어린 시절 수술로 왼쪽 눈을 제거한 그는 이 수술 때문에 얼굴이 더욱 변형됐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주변 친구들로부터 괴롭힘도 당했다.

그는 “할로윈 때 학교에서 한 아이가 나를 향해 ‘너는 할로윈 분장이 필요 없어. 평생 쓸 수 있는 얼굴이 있잖아’라고 했다”면서 “그 말은 나를 무너뜨렸다”고 회상했다.

이어 “아주 오랜 시간 나는 내 얼굴을 숨겨왔다. 세상에 내 얼굴을 보여주기가 싫었다”면서 “내 얼굴을 보고 부모 뒤에 숨는 또래 친구들 또한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경험들은 아밋이 아동 도서 ‘남과 다르게 태어난다는 것(Born Different)’를 출판하는 계기가 됐다. 그는 “아이들이 자신의 개성을 받아들이고 자신이 누구인지 깨닫는 것을 돕고자 한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어른이 된 지금도 여전히 사람들의 시선을 느낀다고 고백했다. 아밋은 “나를 보며 자신의 일행에게 ‘저 사람 봤어?’라고 하는 사람들을 자주 본다”고 털어놨다.

아밋에게 힘이 돼준 것은 바로 그의 아내 피얄리였다. 피얄리는 아밋에게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받아들이기 전에 당신이 먼저 스스로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영국에서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해왔지만 온라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은 아밋(왼쪽)과 아내 피얄리. 인스타그램 캡처
영국에서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30대 남성이 어린 시절부터 끊임없는 괴롭힘을 당해왔지만 온라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면서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은 아밋(왼쪽)과 아내 피얄리. 인스타그램 캡처


또한 피얄리는 아밋의 이야기를 소셜미디어(SNS)에 공유하도록 설득했다. 지난 2023년 틱톡 계정을 만든 아밋은 현재 약 20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했다.

그는 “SNS에 내 이야기를 공유하는 것은 나 자신을 받아들이는 데 도움이 됐다”면서 “이제 나는 세상에 ‘나를 받아들이든 말든 상관없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직장을 그만둔 그는 본격적으로 연설을 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고민에 빠져 있는 젊은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밋은 “장애가 있든 없든, 우리 모두는 저마다의 어려움이 있다”면서 “나는 사람들에게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면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