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제품 등 수입·공급망 협력
자국 구매 기업엔 보조금 지급 방침
일본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미국산 반도체를 최대 1조엔(약 9조 5000억원) 규모로 수입하는 방안을 미국 측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아사히신문은 28일 일본 정부가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특히 엔비디아 제품을 염두에 두고 이런 구매 의사를 미국 측에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자국 통신사나 IT 기업들이 미국산 반도체를 구매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다. 아울러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웨이퍼, 화학약품 등을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이는 양국의 공급망 협력이 경제 안보 강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신문은 “미국의 무역 적자 해소에 기여하는 협상 카드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지난해 미국의 대일 무역 적자가 685억 달러(94조원)에 달한 만큼 반도체 구매만으론 무역 불균형 해소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이 농산물 수입을 포함한 다양한 카드를 제시했지만 양국 협상은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은 일본에 부과된 기본 관세(10%) 외에 추가 관세(14%)만 협의 대상이라는 입장이다. 또 자동차 등 개별 품목 관세 인하에도 난색을 보이고 있다.
관세 협상을 맡고 있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29일 미국을 방문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등과 4차 협상에 나선다. 또 다음달 중순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맞춰 예정된 미일 정상회담에서 합의를 끌어낸다는 방침이다.
2025-05-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