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美 블랙프라이데이에도 지갑 안 열었다

[글로벌 경제] 美 블랙프라이데이에도 지갑 안 열었다

입력 2013-12-03 00:00
수정 2013-12-03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대 대목 ‘썰렁’… 신흥국 경제에 악영향?

추수감사절(11월 넷째 주 목요일)부터 나흘 동안 이어진 미국 쇼핑 대목의 매출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연중 처음으로 장부에 ‘붉은 잉크’(적자) 대신 ‘검은 잉크’(흑자)를 기재한 데서 연유한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소비는 미국의 한 해 전체 매출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 최대 소비대국의 부진이 글로벌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전미소매연맹(NRF)은 지난달 28일 추수감사절과 이튿날인 블랙프라이데이를 포함한 주말 나흘간의 총 소매 지출이 574억 달러(약 60조 69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휴 기간 쇼핑에 나선 미국인은 1억 4100만명으로 전년 동기(1억 3900만명)에 비해 1.4% 늘어났으나, 1인당 지출액은 407.2달러로 오히려 지난해(423.55달러)보다 4%나 줄었다.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와 대형 백화점 메이시 등이 사상 처음으로 휴일인 추수감사절 당일부터 문을 여는 등 소매업체들이 어느 해보다 공격적인 영업에 나섰지만 소비자들은 쉽게 지갑을 열지 않았다고 NRF가 전했다. 이 때문에 소매업계는 연휴 직후 쇼핑을 하지 못한 직장인들이 인터넷과 모바일 쇼핑으로 몰리는 ‘사이버먼데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올해는 블랙프라이데이부터 크리스마스(12월 25일)까지 이어지는 연말 쇼핑 특수 기간이 지난해보다 6일이나 줄어든 25일에 불과하다. 이 기간의 소비 규모가 미국의 한 해 전체 소매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미국 소매업계의 장부 잉크가 검은색으로 바뀌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국내총생산(GDP)의 70%가 소비로 구성되는 미 경제구조의 특성상 소매업계의 매출 부진은 글로벌 경기에도 ‘마이너스’(-)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소비자가 소비를 줄이면 곧바로 중국이나 인도, 브라질 등 수출 중심의 개발도상국의 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대략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세계 경제 성장률도 0.3~0.4%포인트씩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블룸버그는 “블랙프라이데이의 쇼핑 규모가 줄어들면 미국의 경기 성장세와 고용 지표에도 영향을 주지만 더 큰 문제는 세계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파급 효과”라면서 “내년 3월에 시작될 양적 완화 축소 조치에 이어 연말 미국의 소비 부진은 신흥국에는 또 다른 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12-0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